[GAM]스테이블코인 카드 대체할까 ② 하이브리드 체제 전환

2025-07-03

카드와 스테이블코인 공존 전략

시장 입지 사수에 총력

'하락에 매수' 비자 20% 뛴다

이 기사는 7월 3일 오후 2시41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시장 전문가들은 스테이블코인의 급부상이 당장 비자(V)와 마스터카드(MA)를 위협하는 요인이지만 중장기적으로 양측이 경쟁인 동시에 협업의 관계로 공존할 가능성에 무게를 둔다.

일부에서는 글로벌 결제 시장에 전통적인 형태의 카드와 스테이블코인이 공존하는 이른바 하이브리드 구조로 전환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비자와 마스터카드는 이미 USDC를 포함한 주요 스테이블코인 결제를 일부 국가에서 지원하고 있다. 비자는 남미에서, 마스터카드는 글로벌 가상자산 결제 플랫폼과 협력해 스테이블코인 기반의 카드 결제 서비스를 확장하고 나섰다.

보도에 따르면 마스터카드는 전세계 1억5000만개 가맹점에서 스테이블코인 사용을 가능하게 했고, 비자도 VTAP 플랫폼을 통해 스테이블코인 거래를 지원하고 있다.

카드사들은 이와 함께 스테이블코인 기반의 카드에도 기존 카드에 제공하는 리워드와 신용 기능을 탑재, 차별화를 도모하는 움직임이다.

이들 업체는 블록체인 스타트업 및 핀테크 업체들과 협업을 통해 결제망을 디지털화 하는 한편 스테이블코인 결제 기업이 카드사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 결제가 카드사 결제망을 통해 이뤄질 경우 카드사는 기존처럼 결제 수수료를 받을 수 있다. 스테이블코인 결제 기업들 입장에서도 거래망 확보를 위해 카드사와 협업이 필수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두 개 카드사는 미국 카드 결제의 85%를 웃도는 비중을 내세우며 글로벌 상인 네트워크와 사기 방지, 소비자 프라이버시, 브랜드 신뢰 등을 강조하고 있다. 자신들의 토큰화 기술은 온라인 결제 시 민감한 계좌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월가는 스테이블코인이 비자와 마스터카드에 파괴적 혁신인 동시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두 업체가 얼마나 빠르게 적응하고 대응 및 혁신하는가에 따라 위기가 기회로 전환될 수 있다는 얘기다.

사실 두 개 업체는 2021년부터 스테이블코인을 기존 네트워크에 통합하려고 시도했고, 최근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투자를 대폭 확대하는 움직임이다. 일례로, 비자 벤처스는 올해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제공 업체 BVNK에 투자했다. 금융기관들은 해당 네트워크의 플랫폼을 통해 법정 화폐와 연동하는 디지털 토큰을 발행할 수 있다.

미국 언론에 따르면 비자는 아프리카를 포함한 신흥시장에서 스테이블코인 결제 서비스를 확장하는 한편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스타트업에 전략적 투자를 추진하는 등 발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마스터카드는 최근 블록체인 업체 팍소스의 글로벌 달러 네트워크에 합류해 소속 기관들이 USDG라는 스테이블코인을 발행 및 상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파이저브의 FIUSD와 페이팔의 PYUSD, 서클의 USDC 등 다양한 스테이블코인도 지원한다.

팍소스의 네트워크는 사용자가 실제 경로를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강점을 갖는다. 가령, 100달러 미만 거래의 경우 당좌 계좌에서, 더 큰 거래는 신용 한도에서, 특정 상인 결제는 암호화폐 지갑에서 출금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솔루션이 하나의 결제 신원에 연결된다.

마스터카드는 스테이블코인이 하루아침에 기존의 카드 결제나 법정화폐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송금과 지급, 기업 간 결제 등 새로운 활용처와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일부 외신들도 같은 목소리를 낸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비자와 마스터카드가 스테이브코인 확산에 맞서 기존 결제 네트워크와의 연계 및 글로벌 네트워크의 새로운 파트너십 및 서비스 혁신을 통해 입지를 지켜내려는 움직임이고, 이 같은 전략이 적중할 것으로 예상한다.

단기적으로 수수료 수익의 감소를 포함해 일정 부분 압박이 가해질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스테이블코인과 공존 또는 흡수하는 방식으로 시장 주도권을 쥘 수 있다는 얘기다.

스테이블코인 결제에도 포인트나 캐시백 등 카드사 특유의 리워드를 제공하는 형태의 대응이 '흡수'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금융과 IT 기술이 결합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핀테크가 등장하고 있지만 결제는 단순히 기술만의 문제가 아니라 공공 및 민간의 인프라를 축으로 작동한다.

카드가 결제의 중추로 남아 있는 이유는 독특한 경제성과 보편성 때문이라고 시장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미국을 포함한 주요국의 거의 모든 소비자들이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를 보유하고, 거의 모든 상인들이 이를 받아들인다는 것.

카드 시스템은 은행과 소비자 모두에게 사용할 유인을 제공하며, 보안부터 구매자와 판매자 간 분쟁 처리까지 다양한 매커니즘을 갖추고 있다. 사용자들이 지불하는 수수료에는 이 같은 서비스에 대한 대가인 셈이다.

대규모 상인들은 기존 결제망을 대체할 수 있는 결제 방식을 도입하려는 시도를 지속했고, 스테이블코인 역시 이 같은 추세 속에 급부상한 사례다. 시장 전문가들은 달러화 사용을 원하지만 달러 계좌를 만들기 어려운 국가에서 특히 스테이블코인이 매력적이라고 설명한다.

WSJ은 스테이블코인이 국내 혹은 국제 결제 시장에서 다양한 형태로 활용될 것으로 보이지만 대부분의 소비자들 지갑에 가장 빠르게 진입하는 방법은 결국 '카드'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강조한다.

비자와 마스터카드 주가는 최근 1개월 사이 각각 3.18%와 3.51% 하락했다. 미국 상원의 지니어스 법안 통과와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뜨거운 관심이 직접적인 악재로 작용했다는 진단이다.

투자은행(IB) 업계는 잠재적인 리스크에도 카드 업체에 강세론을 유지하는 모습이다. 모간 스탠리는 보고서를 내고 비자와 마스터카드에 '매수' 투자 의견을 제시했다. 미국 소비자들의 지출이 거시경제 측면의 불확실성에도 탄탄하게 유지되는 데다 두 개 업체의 펀더멘털 역시 강력하다는 판단이다.

때문에 스테이블코인을 빌미로 한 주가 하락이 두 개 종목의 매수 기회라고 모간 스탠리는 강조한다. 양사 모두 2025년 두 자릿수의 이익 성장을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다.

미즈호는 보고서를 내고 비자의 투자 의견을 '중립'에서 '시장수익률 상회'로 높이고, 목표주가 역시 359달러에서 42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7월2일(현지시각) 종가 354.22달러에서 20% 가량 상승 가능성을 예고한 수치다.

미즈호는 비자의 카드 발행 실적이 강하게 회복되고 있고, 특히 캐나다와 북유럽 지역의 카드 침투율이 90%를 웃돈다고 강조한다. 미국에서도 2026~2027 회계연도 기존의 예상치를 웃도는 외형 성장을 이룰 것으로 내다봤다.

shhwang@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