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이통 3사, 3,000억 AI 투자 협력 선언

2025-08-12

KIF 존속기간 2040년까지 연장, 자펀드 결성 재개

AI·AX 기업 육성에 2,400억, AI반도체·ICT 기술사업화에 600억 배정

과기정통부·이통사 대표, 협력 방안 논의 후 공동 결의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정부와 이동통신 3사가 AI 핵심기술 육성과 산업 전환 가속화를 위해 3,000억 원 규모의 자펀드를 조성, 본격적인 민·관 투자 협력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12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정부-이통사 AI 투자협력 선언식'을 열고, 이동통신 3사가 출자한 KIF(Korea IT Fund)의 존속기간 연장을 계기로 AI 분야 중심의 신규 자펀드 결성을 재개한다고 밝혔다.

KIF는 2002년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가 총 3,000억 원을 출자해 조성한 민간 모펀드로, 국내 ICT 벤처기업 투자를 통해 민간투자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해왔다. 이번에 존속기간을 2040년 말까지 연장하면서 작년 한 해 공백을 거쳐 올해부터 신규 자펀드가 다시 만들어진다.

올해는 모펀드에서 1,500억 원을 출자해 총 3,000억 원 이상의 자펀드를 결성한다. 이 중 2,400억 원 이상은 AI 기반기술과 AI 전환(AX) 관련 유망 기업 육성에 집중하며, 400억 원 규모의 AI 반도체 전용펀드, 200억 원 규모의 ICT 기술사업화 촉진 펀드도 조성할 계획이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날 행사에 앞서 마련된 정부-이통사 AI 투자협력 사전 환담에서 "SK텔레콤 유영상 대표, KT 김영섭 대표, LG유플러스 이철호 부사장이 함께 모인 이유는 대한민국의 AI 혁신을 이루기 위해 스타트업 투자, AI 분야 투자가 중요하다는 데 공감했기 때문"이라며 "지난 6월, KIF 투자를 2030년에서 2040년까지 10년 연장하면서 AI 분야 투자펀드를 만들 수 있는 계기를 통신 3사 대표들이 마련해 줬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통해 총 3,000억 원 규모의 AI 투자가 가능한 환경과 생태계를 구축하게 됐는데, 정부도 이러한 민간의 노고에 보답하고자, 기존에 매년 약 900억 원 규모로 운영하던 AI 혁신펀드를 3,000억 원으로 확대하고, AI 데이터센터·시설 투자에 세제 감면, 규제 개선 등 지원을 강화하겠다"며 "중요한 것은 이동통신 3사와 정부가 앞으로 'AI 원팀'이 되어 AI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함께 노력하겠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행사에는 과기정통부 배경훈 장관, SK텔레콤 유영상 대표, KT 김영섭 대표, LG유플러스 이철훈 부사장 외에도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 부회장, KIF 투자운영위원장 등과 200여 명의 벤처투자사 관계자가 참석했다. 사전 환담에서 참석자들은 각 사의 AI 투자 계획과 협력 방안을 공유했다.

이어 본 행사에서는 KTOA가 펀드 운용 성과와 향후 투자 비전을 발표했고, 정부와 민간 대표들이 무대에 올라 AI 투자 확대 결의를 다지는 세리머니를 진행했다.

한편, 2025년도 KIF 자펀드 운용사 공모 접수는 이달 28일까지 진행되며, 세부 내용은 KTOA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dconnect@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