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전략 컨설팅 기업 ‘L.E.K. 컨설팅’은 정밀 의료 시대가 본격화되면 향후 10년간 한국에서 약 60조 원의 경제 효과와 보건의료 전반에 걸친 사회·경제적 가치가 실현될 것이라는 내용의 ‘정밀 의료 사례 연구 보고서(On the Cusp of a Cure)’를 13일 발표했다.
정밀 의료는 기존의 획일적인 치료 방식과 달리 환자 개개인의 유전적 정보와 질병 특성에 기반해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질환에 대해 근본적인 치료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컨설팅 회사 L.E.K. 컨설팅과 아시아태평양 지역 16인의 전문가 자문위원회가 함께 개발한 것으로, ‘전체 시스템 이익 모델링(whole system benefits modelling)’을 활용해 한국에서 정밀 의료가 가져올 경제 및 보건의료적 효과를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의약품 제조 및 임상시험 분야의 선도국으로, 한국에서 정밀 의료가 본격 도입되면 2025년부터 2035년까지▲치료 접근성과 임상 시험 지원 차원에서 약 60조 원 규모의 투자 유치 ▲연구개발(R&D), 첨단 제조, 진단 분야에서 2만 개 이상의 고숙련 일자리 창출, ▲ 약 360조 원에 달하는 간접 경제 효과 ▲전체 환자의 누적 생존 기간 32만 5천 년 이상 연장, ▲보건의료 시스템 비용 약 2.2조 원 절감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암과 희귀질환처럼 미충족 의료 수요가 높은 질환에서 정밀 의료의 필요성은 더욱 강조된다.
이화여자대학교 융합보건학과 안정훈 교수는 “2022년 한 해에만 한국에서 23만 7,000명이 암 진단을 받았고, 이 중 9만 7,000명 이상이 사망했다. 또한 “전체 희귀 질환 환자의 70% 이상이 최적의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 정밀 의료는 이처럼 시급한 건강 문제에서 새로운 치료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밀 의료 기술은 환자별 맞춤 치료를 통해 기존 치료보다 향상된 결과를 제공하고 기존 치료 방식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며, 활발한 연구와 투자의 중심에 있는 기술로, 보고서는 정밀 의료의 핵심 기술을 중심으로 1,000건 이상의 임상 시험 데이터를 분석했다.
길리어드 사이언스 코리아 전 대표인 폴 리(Paul Lee)는 “CAR-T 치료제가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의 초기 치료에 사용될 경우 치료 성과는 크게 향상될 것”이라며, “정밀 치료는 환자의 사회 복귀나 경제 활동 참여를 넘어 궁극적으로 완치 가능성까지 제시한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진전”이라고 말했다.
보고서는 한국이 정밀의료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로, ▲복잡한 약가 정책 및 급여 체계, ▲유전체 데이터 활용에 대한 법적 제한과 관련 인프라 부족, ▲정밀 의료에 대한 의료진 및 환자의 인식 부족 등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