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교학점제를 경험한 고1 학생 75.5%가 고교학점제에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6일 종로학원이 지난달 21일부터 23일까지 고1 학생 47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고교학점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고교학점제가 안좋다(40.4%), 매우 안좋다(35.1%)고 응답했다. 반면 매우 좋다(1.1%), 좋다(3.2)고 응답한 학생은 4.3%에 그쳤다.
과목 선택권이 충분히 주어졌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67.0%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으며, 고교학점제가 진로·적성 탐색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도 76.6%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학점제가 학교생활 적응이나 교우 관계에 미친 영향을 묻는 항목에서는 '부정적 영향'이 48.9%, '긍정적 영향'은 5.3%로 나타났다. 과목 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대입 유불리'(68.1%)가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진로·적성'(27.7%)이 뒤를 이었다.
학점제 관련 상담을 받은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56.4%였고, 이 중 60.4%는 학원이나 컨설팅 업체 등 사교육을 통해 상담을 받았다고 답했다. 학점제 제도를 개선할 방향에 대해서는 '폐지'(72.3%), '축소(13.8%)로, 대다수가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또한 대학이나 학교 현장에서 고교학점제 관련 정보와 교육이 충분히 이뤄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77.7%가 '부족하다'고 답했다.
내신이 불리해졌다고 판단할 경우 향후 대입 전략을 '수능 중심'으로 전환하겠다는 응답이 56.4%로 가장 많았으며, 고교학점제가 내신 불이익을 만회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83.0%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현재 고1 학생들은 학교 내신 성적에 따라 진로 방향이 뚜렷하게 갈릴 것으로 분석했다.
임 대표는 “1학년 종료 시점에서 내신 상위권 학생들은 대학 입시에 유리한 고교학점제 일반·진로선택 과목에 집중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내신이 불리한 학생들은 고교학점제보다 수능 준비 등 외부 평가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고교학점제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도와 관심은 내신 유불리에 따라 뚜렷한 양극화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마송은 기자 running@etnews.com




![[거인의어깨 입시컨설팅] 2026 수능 대비, 50만 수험생의 준비물과 대책](https://img.newspim.com/news/2024/01/15/2401150932387760.jpg)

![[설왕설래] 학폭 대입 탈락](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2025110451866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