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몸 번지는 붉은 발진, 무심코 넘기지 마세요”…해외여행·고령화에 증가하는 ‘후진국병’

2025-05-04

늘어나는 해외여행과 고령화 여파에 홍역과 결핵, 옴 등 후진국병으로 불리는 질환이 국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특히 올해 홍역 환자는 2019년 이후 6년 만에 최다 수준을 보이고 있다.

4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1일까지 신고된 홍역 환자는 모두 52명이다. 지난해 1년동안 발생한 환자 49명보다도 많고, 2019년(연간 194명) 이후 6년 만에 최다다.

국내 홍역 환자는 코로나19 기간이던 2020년 6명, 2021년과 2022년엔 0명이었고, 이후 2023년엔 8명을 기록했다.

우리나라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인증한 홍역 퇴치 국가다.

2001∼2002년 홍역 대유행 시기 5만5000여명의 환자가 나왔다가 정부의 집중적인 퇴치사업으로 환자가 급감하며 2006년 홍역 퇴치 선언을 했다.

이어 WHO가 강화한 인증 기준에 따라 2014년 홍역 퇴치국 인증을 받아 현재까지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소규모 환자 발생이 이어지고 있음에도 홍역 퇴치국 지위가 유지되는 것은 국내 환자 대부분이 해외 유입 사례이기 때문이다.

올해 환자 52명 중에서도 34명이 해외에서 감염돼 들어온 경우고, 나머지 18명은 이들 해외유입 환자를 통해 가정이나 의료기관에서 전파된 경우다. 해외유입 대다수가 베트남발 감염이다.

질병청 관계자는 "전세계적으로 홍역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해외 유입 사례들은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라면서도 "국내 접종률이나 감시체계 등이 안정적인 상황이어서 급속히 확산할 가능성은 작다"고 말했다.

홍역과 함께 '후진국형 감염병'으로 여겨지는 결핵 환자도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질병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결핵 환자는 1만7944명이었다.

2011년 5만491명에서 13년 연속 감소세긴 하지만 여전히 만 명대의 환자가 기록되고 있어 2030년 퇴치 목표 달성이 쉽지만은 않아 보인다.

위생 상태가 좋지 않던 시절 유행했으나 이젠 거의 잊힌 '옴'도 여전히 한 해 수만 명을 괴롭힌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옴진드기로 인한 피부질환인 옴 진료인원은 최근 5년간 2019년 4만1297명, 2020년 3만6579명, 2021년 2만9693명, 2022년 3만697명, 2023년 3만4921명이다.

지난해의 경우 1∼8월 3만1773명이 진료를 받았다.

홍역이나 결핵, 옴이 완전히 퇴치되지 않는 이유는 우선 해외여행이나 교류가 늘어난 영향도 있다.

홍역의 경우 최근 백신 접종률이 낮아진 미국을 비롯해 전 세계에서 유행해 후진국형 감염병이란 말이 무색해진 상황이라 발병국 방문을 통한 산발적인 감염을 피하기 어려워졌다.

결핵과 옴 발생은 고령화와도 관련이 있다.

질병청 관계자는 "1950∼1960년대 빈곤한 시절에 결핵균에 감염됐던 사람들이 나이가 늘어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며 "이 때문에 초고령사회로 접어들면서 결핵 환자 감소세가 완만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진우 기자 realston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