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인터넷신문]미국은 전 세계 쇠고기 산업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국가 중 하나로, 생산량과 수출량 모두에서 상위를 차지하며 글로벌 축산업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2023년 기준, 미국의 쇠고기 생산량은 약 1,220만 톤으로, 이는 전 세계 생산량의 약 20%를 차지하며 브라질과 함께 세계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미국의 쇠고기 생산은 점차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2024년에는 약 1,186만 톤으로 전년 대비 3% 줄었으며, 이는 가뭄, 사료비 상승, 도축 지연, 사육 두수 감소 등 복합적인 구조적 요인에서 비롯되었다. 2025년 1월 기준 미국 내 소 및 송아지 전체 개체수는 8,670만 마리로, 이는 1950년대 이후 최저 수준이다. 특히 쇠고기 생산의 핵심인 비프용 암소(head cows for beef) 수도 2,790만 마리로 감소해 생산 기반이 위축되고 있다.
이러한 여건 속에서도 미국의 쇠고기 수출은 비교적 견조하게 유지되고 있다. 2023년에는 쇠고기 및 부산물 약 129만 톤을 수출하며 약 97억 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했고, 2024년에는 수출량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면서 단가 상승의 영향으로 총 수출액이 105억 달러에 이르렀다. 전체 생산량 대비 수출 비중은 약 11~13%이며, 이 중 내장 등 부산물 수출이 물량 기준으로 22%, 금액 기준으로 11억 달러를 차지하는 등 수출 구조의 다변화도 돋보인다.
한국은 이러한 미국 쇠고기의 핵심 수출국으로, 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시장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2024년 기준 미국은 한국에 약 63.9만 톤(639백만 파운드)의 쇠고기를 수출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수출량이 소폭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수출액은 오히려 증가해 21억 8,700만 달러에 달했다. 특히 2025년 1~5월 동안 한국으로의 수출량은 10% 증가하고, 수출액은 12% 상승하며 강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 시장은 단순한 수량 측면만이 아닌 '프리미엄 쇠고기 시장'으로서의 중요성이 크다. 갈비(short plate), 양지, 냉장육 등 특정 부위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높고, 높은 단가 형성으로 인해 미국산 쇠고기의 수출 수익성 향상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실제로 2025년 3월 한국으로의 수출량은 소폭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출액은 상승해, 미국 쇠고기의 품질 경쟁력이 확고함을 보여준다.
양국 간 무역 관계도 이러한 흐름을 뒷받침하고 있다. 미국산 쇠고기는 2007년 수입이 재개되었고, 2012년 발효된 한미 자유무역협정(KORUS FTA)을 통해 관세가 단계적으로 철폐되며 무역 장벽이 크게 낮아졌다. 현재 미국 측은 한국의 검역 절차나 비관세 장벽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수출 기반이 유지되고 있다.
특히 중국 시장이 검역 규제와 관세 문제로 인해 제약을 받는 상황에서, 한국은 일본, 멕시코와 함께 미국 쇠고기의 3대 수출국으로서 전략적 중요성을 더욱 높이고 있다. 이 세 나라만으로도 2024년 미국 쇠고기 수출액의 절반 이상인 55억 달러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이 쇠고기 생산량 감소라는 구조적 제약 속에서도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출 물량’보다 ‘수출 가치’ 중심의 전략이 필요하며, 이러한 전략의 중심에는 고단가·고품질 수요가 존재하는 한국 시장이 확고히 자리하고 있다.
한편, 한편 미국산 쇠고기의 최대 수출국은 일본이다. 2023년에는 일본에 대한 수출량이 639백만 파운드, 한국에 대한 수출량이 672백만 파운드로 한국으로 수출치 제일 많았으나 그 전후에는 일본으로 수출하는 양이 가장 많다. 그러나 수출 금액 측면에서는 한국이 1위이다. 미국의 일본에 대한 쇠고기 수출량은 2020년에 827백만 파운드로 수출 금액은 1,653백만 달러였는데, 당시 한국으로 수출한 양은 667백만 파운드, 가격은 1,680백만 달러로 한국보다 일본에 많은 양을 수출했으나 수출금액은은 한국이 1위였다. 미국의 쇠고기 수출 금액는 2019년 이후 부터 한국이 계속해서 1위이다.
따라서 미국에서 한국은 쇠고기의 최대 금액 수출국가로 중요한 나라인데, 한국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물량보다 '가치 중심'의 전략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 배경에는 한국의 고단가, 고품질 수요 시장이 있다는 점이다. 이 부분은 우리가 미국산 쇠고기와의 경쟁을 생각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이다.
참고문헌
USDA (.gov).Cattle & Beef - Statistics & Information(https://www.ers.usda.gov/topics/animal-products/cattle-beef/statistics-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