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보훈단체장 역임하며 유공자 위상 높이는 데 일조
2008년 호국용사촌 회장 맡아 마을 복지공장 설립 운영

“많은 분들의 희생으로 세워지고 지켜진 나라라는 사실이 다음 세대에게도 전해지기를 바랍니다.”
17년 동안 전주 호국용사촌 회장으로 일하고 있는 탁경률(75) 옹의 소망이다.
탁 회장은 1972년 군복무 중 사고로 척수장애를 입은 후 여러 보훈 단체장을 역임하며 국가 안보와 유공자들의 위상을 높이는 것에 힘써왔다.
또한 장애인과 그 가족의 고통에 깊이 공감해 지난 2000년 전북장애인론볼연맹을 설립, 열린 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도 해왔다.
그러던 중 탁 회장은 지난 2008년 고광용 전 회장의 후임으로 호국용사촌 회장에 추대됐다.
탁 회장은 “호국용사촌에 거주하던 6·25 유공자 선배들이 고령화되면서 저를 회장으로 추대해주셨다”며 “그때 마을 어르신들과 함께 운영 중이던 복지공장이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는데, 국가유공자 어르신들이 서로 위로하며 살 수 있도록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회장직을 수락했다”고 회상했다.
이어 “회장으로 취임한 후 지난 2010년부터 지금까지 국가유공자마을 복지공장으로 전선 업체를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탁 회장은 마을이 고령화되면서 더욱 무거워진 회장직의 무게를 실감하고 있다.
그는 “고령화로 어르신들이 한분 한분 돌아가시고, 마을 분위기가 갈수록 활기를 잃어가는 것을 보며 마음이 아팠다”며 “회사, 마을 경영의 책임감은 커지는데 이제는 상의할 수 있는 선배님들이 없어 아쉽다”고 토로했다.
이런 어려움 속에서도 그는 회장직을 수행하며 많은 보람을 느끼기도 했다고 강조했다.
탁 회장은 “국가를 위해 희생한 선배들을 도와드리기 위해서 기업을 설립했지만 초창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며 “그렇지만 곧 수익이 나오고 경제적 보탬이 되자 기뻐하는 전주 호국용사촌 어르신들을 보며 그간의 고생이 보람으로 바뀌었다”고 말했다.
끝으로 탁 회장은 국가 유공자들의 가치가 후손들에게 계속해서 전해지기를 희망했다.
탁 회장은 “이제 6·25 참전 유공자 선배들도 많이 돌아가셨다”며 “이런 상황에서 국가유공자와 안보에 대한 관심이 무뎌진 모습을 보면 가슴이 아프다”고 한숨지었다.
그는 “항상 국가와 국민은 하나의 운명공동체라는 것을 늘 되새기고, 이것을 다음 세대도 꼭 기억해 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탁경률 회장 #호국용사촌 #국가유공자
김문경 sale0330@daum.net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