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일본 내수 살리는 '관광산업'...한국은?

2025-09-18

상반기 방일 외국인 '2152만명' 사상 최대

[서울=뉴스핌] 조준경 기자 = 지난 4일부터 7일까지 일본 지방 도시인 히로시마와 근교의 항구도시 오노미치를 방문했다. 인구 감소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뉴스핌 [로컬이 기회다] 기획 취재를 위한 출장이었다. 일본을 자주 가며 느낀 점은 결국 다시 찾게 만드는 '매력'이 분명히 있다는 것이다.

지난 7월 일본정부관광국 발표에 따르면 상반기 일본을 찾은 외국인 수가 지난해 대비 21%증가한 2152만명으로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고 한다. 그 중 한국인이 478만명으로 1위를 기록했다. 이 추세라면 지난해 역대 최대치를 찍은 방일 한국인 '714만명'을 다시 경신할지도 모른다.

관광을 통해 일본 내수에 뿌려지는 돈도 막대하다. 상반기 외국 관광객들의 소비액은 4조8053억엔(약 46조원)에 달한다고 한다.

일본을 찾는 이유는 다양하다. 애니메이션과 같은 창작물부터 역사와 전통 등 다양한 문화유산이 일본의 소프트파워를 이끌며 국가적 매력을 발산하고 있다. 소도시 골목마저 정갈하게 정리돼 있는 모습을 보면, 자신의 터전을 아름답게 가꾸는 일본인들의 생활 태도를 발견할 수 있다.

일상에서 전통 옷을 즐겨 입는 것도 외국인들로 하여금 존중심을 갖게 한다. 백화점에선 할머니들이 '기모노'를 입고 쇼핑하고, 편의점에선 '하오리' 복장을 한 아저씨가 아이스크림을 먹고 있다. 축제 때는 젊은 남녀가 '유카타'를 입고 돌아다니며 졸업식 때는 '하카마'를 입는다.

수백 년 된 식당, 찻집, 과자 가게는 만든다고 바로 생기는 자원이 아니다. 생존을 위해 치열하게 버텨온 '모노즈쿠리(ものづくり, 장인정신을 표현하는 관용어)'와 '오모테나시(おもてなし, 손님을 극진히 대접하는 관습)' 문화가 응축된 결정체들이다.

우리나라로 시선을 돌려보자. 최근 경복궁 근처 한복 렌탈 가게들의 근본을 알 수 없는 한복에 대한 기사를 봤다. 사극에선 볼 수 없는 금박을 입히고 레이스가 달린 여성 저고리와 도포가 아닌 마고자와 갓을 혼용해 입는 것이 한복에 대한 잘못된 이미지를 외국인들에게 심어줄 수 있다는 지적이었다.

"그렇게라도 입는 게 어디냐?"는 주장이 있던 반면, "근본 자체가 훼손되는 것은 위험하다"는 비판도 있었다. 개인적으로 후자의 주장에 조금 더 힘을 실어주고 싶다. 전통은 곧 근본인데, 근본 없는 것이 존중받을 수 있을까? 근데 바로미터가 돼야 할 자국민부터 평시 한복을 입는 문화가 없으니 근본을 세우기 힘들 것 같다.

국내 여행은 불쾌한 일과 바가지를 쓰는 것을 염려해야 하는 '모험'으로 평가받고 있다.

동해안에 떠 있는 어느 섬에서는 비계가 절반인 삼겹살(120g)을 1만5000원에 파는가 하면, 어디를 가나 불친절하게 응대하는 상인들의 모습이 최근 유튜브를 통해 공개됐다. 거기뿐인가? 제주도 갈 바에 동남아 가는 게 싸다는 것은 휴가철 직장인들의 '교양지식'이 된지 오래다.

로컬을 살리겠다며 잡다한 기교나 정책들을 파고 드는 것보다 손님을 대하는 기본부터 갖추는 게 순서가 아닐까.

calebcao@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