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직자 10명 중 7명 “연봉보다 지역 중요”

2025-05-06

고향 머무는 졸업예정자 많아

삶의 질·공동체 중시 증가

취업 경쟁은 예년 비해 심화

올해 대학을 졸업한 구직자들은 높은 연봉보다 직장의 지역을 더 중요하게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CNBC는 최근 취업 플랫폼 핸드셰이크가 졸업 예정자 2800여 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를 인용해 원하는 지역에서 일할 수 있는지가 구직자들이 중요시하는 요소라고 보도했다. 일자리의 지역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구직자의 비율은 73%로 가장 높았다. 일자리의 안정성(70%), 기업의 평판(67%), 높은 연봉(63%), 근무시간의 유연성(52%)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가족과 가까운 곳, 자신이 자란 고향에 자리한 일자리를 먼저 찾는 경향이 뚜렷했다. 실제로 졸업생의 절반 이상이 학교 반경 250마일 이내의 직장에 지원하고 있었고, 2000마일 이상 떨어진 먼 지역으로 이동할 계획을 세운 비율은 10%도 되지 않았다.

핸드셰이크의 크리스틴 크루즈 베르가 교육 총괄책임자는 “팬데믹을 겪은 세대인 만큼 대학을 졸업한 사회초년생들은 연봉만이 아닌 삶의 질과 공동체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가치관이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높은 물가를 감당해야 하는 대도시 대신, 생활비 부담이 적은 고향 근처를 선택하는 현실적 이유도 작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위스콘신대학 매디슨 캠퍼스를 졸업하고 시카고에서 애널리스트로 일할 예정인 할리 자마는 이 같은 흐름을 그대로 보여준다. 뉴욕에서도 더 높은 연봉을 주는 일자리를 제안받았지만, 가족이 있는 미네소타에서 가까운 시카고를 선택했다. 자마는 CNBC와의 인터뷰를 통해 “뉴욕에 가면 돈은 더 많이 벌겠지만, 과연 내가 거기서 행복할까 고민했다"며 “결국 나에게는 연봉보다 가족과 가까운 위치가 훨씬 더 중요했다”고 말했다.

직업 선택 방향도 일부 변화하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은 안정적인 정부기관 일자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연방정부 규모 축소를 추진하면서 올해 졸업생들은 정부기관 지원 비율이 줄었다. 부동산, 건설업계 진출에 대한 관심은 다소 높아졌지만, 테크 분야 지원은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테크 분야에서 최근 2년간 대규모 구조조정이 있었기에 직업 안정성을 원하는 구직자들은 테크 업계를 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취업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2025년 졸업생들은 2월까지 평균 16.5곳에 지원했는데 이는 1년 전 2024년 졸업생의 같은 시점 평균 지원 건수 13.6건보다 증가한 수치다. 핸드셰이크에 등록된 2025년 구인공고 한 건당 평균 지원자 수도 26명으로 지난해 20명보다 늘었다.

전문가들은 최근 트렌드가 예전과 확연히 달라지는 것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좋은 직업’의 기준을 구직자들이 그대로 따르지 않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테크나 금융 같은 분야에서 높은 연봉을 받고 대도시에서 사는 삶에 대한 선호가 줄었다는 것이다. 베르가는 “이들은 기회를 찾아 유연하게 움직일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

조원희 기자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