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대학의 동창 모임 행사장. 은퇴한 대학 동기들이 모여 회포도 풀고 은퇴 후 삶에 대한 정보도 나누는 자리였다. 동창들 간에 유달리 끈끈한 유대감이 인상적이었다.
화기애애하고 왁자지껄한 분위기는 강연자로 초청받은 백만기(73) 위례인생학교 교장의 이 말에 ‘갑분싸’(‘갑자기 분위기 싸해지다’는 의미의 신조어)가 됐다.
백 교장은 말을 이었다.
동창, 참 좋지요. 하지만 동창들끼리 나눌 수 있는 얘기는 ‘옛날의 금잔디’ 같은 과거에 대한 화제뿐이잖아요. 지금은 인생 2막에 대한 새로운 비전과 가치관을 정립할 때입니다. 동창은 가끔만 만나고, 이제부터는 ‘은퇴 후 친구’를 새로 사귀세요. 혼자 있는 시간을 늘리는 건 더 좋고요.

그는 “퇴직 후에 과거의 인연에 연연하는 건 좋지 않다”고 말한다. 대표적인 ‘과거 인연’이 바로 직장 동료, 학교 동창이다. 퇴직 후 갑자기 사라진 소속감, 사회로부터 소외된 듯한 허무함을 메꾸기 위해 과거의 인연에 집착하다보면 미래로 나아갈 수 없다. 내 앞에 새롭게 펼쳐진 자유를 바라보고 성공적인 은퇴 생활에 대한 새로운 계획에 집중해야 한다는 게 백 교장의 설명이다.
백 교장은 국내 조기 은퇴의 선구자 격이다. 조기 은퇴 개념이 희박하던 2003년 51세 나이로 금융회사에서 자발적 은퇴를 했다. 조기 은퇴를 40세 때 결심하고, 10년을 치밀하게 준비해서 실행에 옮겼다. 그는 사직서 제출 디데이를 며칠 앞두고 이미 은퇴한 한 선배를 찾아 “은퇴 후에 어떤 원칙을 갖고 살아가야 합니까”라며 조언을 구했다. 백 교장의 질문에 그 선배는 자세를 바로잡고 재킷 단추까지 여기며 진지한 눈빛으로 이렇게 말했다.
선배의 조언에 백 교장은 무릎을 탁 쳤다. 그 역시 은퇴 후엔 혼자 지내며 생각을 정리하고 싶었다. 하지만 주변에서 자꾸 “은퇴자에겐 인맥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말을 하니 혼란스러웠는데, 선배의 말에 확신을 얻었다.
실제로 백 교장은 은퇴 후에 사람 만나는 횟수를 99% 줄였다. 매일 새벽 3시면 눈을 뜬다는 그의 하루는 거의 독서와 글쓰기, 사색으로 채워진다. 혼자 있으면서 ‘나 자신과 대화’하는 시간을 충분히 가지면서, 충만한 기쁨을 느낀다고 말한다.

(계속)
은퇴 20년차 백 교장이 말하는 ‘혼자 놀기’란 대체 어떻게 하면 되는 걸까요. 인간관계를 완전히 단절하고 혼자 지내라는 의미는 결코 아닙니다. 백 교장은 “여생이 1년 뿐이라고 생각하면 어떻게 살아야 할지 답이 나온다”고 설명합니다.
어떤 관계는 과감히 끊고, 어떤 관계에는 더 큰 에너지를 쏟으며 공들여야 하는지에 대한 백 교장만의 철칙, 불필요한 인간관계를 정리한 뒤 넉넉해진 시간을 자기계발에 투자하며 어떤 즐거움을 만들어가고 있는지에 대해 자세한 내용을 들어봅시다.
아래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주세요.
‘내게 꼭 맞는 삶’ 찾기에 성공한 〈은퇴Who〉 스토리 더 보시려면…
①“근무는 3시간, 책 보다 퇴근” 은퇴 뒤 찾은 월 100만원 꿀직장
국민연금공단 지사장 출신인 임희춘씨가 정년퇴직 한 뒤 새로 얻은 직장은 경기도 성남시의 한 공립 도서관이다. 시니어 직원으로 출근하는 그의 자리는 4층 복도 한 켠에 자리잡은 책상이다. 근무시간은 오전 9시부터 11시까지 단 3시간, 월 급여는 100만원 정도다. 4대보험도 다 된다. 그는 이 직장을 얻기 위해 재직 중 5년을 짬짬이 준비했다. 그는 “직장 만족도는 100점 만점”이라며 웃는다. 그는 “사무직 퇴직자들이 취업할만한 좋은 일자리가 의외로 굉장히 많다”고 말한다. 시니어 전용 일자리 사이트부터 재직 중 준비하면 좋은 자격증 등, 임희춘씨가 털어놓는 시니어 일자리에 대한 고급 정보를 확인해보시길 바란다.

②52세에 명퇴당한 MBC PD, 월 1000만원 찍은 ‘사소한 습관’
③ NGO 봉사 하다보니 월 350…더 값진 ‘노후 자존감’도 번다
④ “남편이랑 놀았을 뿐인데…” 정년퇴직 부부 월 300 버는 법
⑤ “별일 안해도 월 300만원 훌쩍”…‘자연인’ 택한 대기업맨 비결

![[청년 공감] 청년 작가 커뮤니티 운영자가 말하는 인간관계](https://www.usjournal.kr/news/data/20251106/p1065621629979371_812_thum.jpg)
![영문소설 읽기라는 큰 행운 [왕겅우 회고록 (17)]](https://img.joongang.co.kr/pubimg/share/ja-opengraph-img.png)



!["져도 좋아, 최선만 다해" 완벽주의자에겐 자괴감 부르는 말[BOOK]](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07/44b539c2-84ce-486b-b706-73b2ec27c31a.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