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중국 젊은 층 사이에서 치아에 글자를 새기는 이른바 '치아 문신'이 유행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15일 중국 지무뉴스에 따르면, 상하이의 한 치과의사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크라운 개인 맞춤 제작이 젊은 환자들 사이에 인기”라고 전했다.
그는 “부자가 된다는 뜻의 '파차이'(发财)와 성공을 뜻하는 '샹안'(上岸)이 인기를 끌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한 네티즌은 “이를 갈면 부를 얻고, 이를 악물면 성공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중국에서 유행하는 '치아 문신'은 실제 치아 표면에 글자를 새기는 것이 아닌, 3D 프린팅으로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맞춤 제작해 시술하는 형태다.
한 네티즌은 SNS를 통해 자신의 치아 문신 사진을 공개하기도 했다. 그는 “예전에 치아에 문제가 생겨 병원에서 크라운을 씌웠는데, 무료로 글자를 새길 수 있다고 해서 멋져보여서 선택했다”며 “크라운 자체는 1000위안 정도였다”고 말했다.
중국에서 많은 치과들이 크라운 맞춤 제작 서비스를 홍보하고 있다.
한 병원 관계자는 “각인은 무료 서비스이며, 크라운 개수와 재료에 따라 비용을 산정한다”며 “치아 문신을 찾는 고객도 꽤 있다. 특히 연인이 함께 이니셜이나 행운의 숫자를 새기기도 한다”고 전했다.
그러나 글자를 새긴 크라운은 치료용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지의 한 치과의사는 “크라운이 손실되고 강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크라운에 글자를 새기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최근 몇 년간 국내외에서는 이와 비슷한 '투스젬'(Tooth Gem)이 유행하기도 했다. 치아 표면에 치과용 접착제나 레진으로 큐빅이나 보석을 붙여 장식하는 것이다. 영구적인 것은 아니지만 투스젬도 치아 표면 손상 우려가 있는 시술이다.
서희원 기자 shw@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