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원내운영수석부대표이 “직장 내 갑질과 국회의원 대 보좌진 관계는 성격이 다르다”며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보좌진 갑질 논란’을 두둔하는 발언을 하자, 이를 두고 당내에서도 반대 의견이 나왔다.
22일 이소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오후 2시쯤 페이스북에 글을 올리고 “오늘 한 분의 의원님께서 ‘일반적인 직장 내 갑질과 의원·보좌진 관계는 성격이 다르다’고 주장하셨으나, 그 말씀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적었다. 이어 “직장 상사와 직원의 관계, 의원과 보좌진의 관계는, 한쪽이 인사권을 가지고 있고 서로간 위계가 존재한다는 측면에서 본질적으로 같다. 따라서, 두 경우 모두 인사권자의 요청을 상대방이 거절하기 어렵다. 우리가 법으로서 부당한 지시를 금지하는 이유”라고 덧붙였다.
이 의원은 또 “인사권자의 입장에서, ‘너무 가깝고 동지적 관계이기 때문에 상대방이 불만 없이 자발적으로 수락했다’고 생각하는 경우 착각일 가능성이 높다”며 “보좌진·의원 간의 관계에 대해 오래 묵은 이슈가 분출된 상황에서, ‘우리는 특수관계여서 괜찮다’거나 ‘보좌진은 일반 노동자와 다르다’는 식의 주장을 하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이다. 이런 주장은 노동 감수성을 강조해 온 우리 민주당에 걸맞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소영 의원은 “저 역시도 5년간 국회 생활을 하며 엄밀하거나 예민하지 못했던 점이 있었을 수 있고, 저도 모르게 누군가에게 상처를 준 적이 있을지 모른단 생각에 이 문제에 대해서 말을 아껴왔다”면서 “그런데도, 우리만은 예외라는 차별적 논리를 만드는 것은 경계할 일이라 생각한다. 우리 안에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오래된 관행과 습관이 존재한다면, 이번 기회에 저를 포함한 모든 의원들이 반성하고 각성해, 함께 제도 개선을 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이날 아침 문진석 의원은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보좌진과 의원은 동지적 관점도 있다. 식구 같은 개념이 있다. 의정 활동이라는 게 의원 개인의 일이냐, 아니면 공적인 일이냐, 이걸 나누는 게 굉장히 애매하다”며 “일반적인 직장 내 갑질과, 보좌진과 의원 관계에 있어 갑질은 약간 성격이 다르다. 자발적인 마음을 갖고 하는 보좌진도 있다”고 말했다. 진행자가 ‘국회의원이라면 일반 직장도 더 구분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되묻자 문 의원은 “너무 가까운 사이다 보니 의원들도 가끔 사적인 심부름은 아무 거리낌 없이 시키는 경우도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