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손지호 기자 = 한국프로골프협회(KPGA) 노동조합(이하 노조)이 협회 측의 보복성 해고 징계에 항의하는 기자회견을 열어 "부당하게 해고된 직원들이 복직할 때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전했다.
KPGA 노조는 19일 서울 서대문구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서비스일반노조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최근 해고 통보를 받은 직원 3명이 직접 참석해 해고 사유와 실제 경위 등을 설명했다.

노조는 최근 협회가 지난달 말에 직장 내 괴롭힘 등의 이유로 해고된 협회 전직 고위 임원 A씨가 가혹행위에 대한 증언을 한 직원들에게 보복성 징계를 남발했다고 주장하는 반면 협회는 A씨 사건과 무관하며 정당한 절차에 의한 징계라고 맞서고 있다.
해고된 L씨는 A씨와 친분이 있던 후원사 대표가 피해 직원들에게 합의를 제안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고, 그러자 후원사 대표는 '경기 중 노출되는 자사 방송 광고 누락을 문제 삼겠다'고 사실상 협박했다고 노조 측은 주장했다.
결국 후원사 대표는 자사 방송 광고 누락을 문제 삼는 공문을 협회에 실제로 보냈고, 이것이 근거가 돼 중간 관리자였던 L씨의 해고 사유가 됐다는 것이다. 노조 측은 "이는 고위 임원 A씨와 가까운 외부 인사의 압력 논리를 협회가 그대로 받아들여 피해 직원을 해고한 전형적 보복"이라고 지적했다.
해고된 N씨의 경우 징계 사유가 된 일이 2023년 1월에 발생한 것으로 '2년이 지나면 징계 의결 요구를 할 수 없다'는 협회 사무조직규정에 어긋난 것으로 드러났다. 세 번째 해고자인 J씨는 협회장 해외 출장 비용 집행 지체지만 상부의 결재 지연으로 관련 비용을 신속히 집행할 수 없었다고 항변했다.

이 밖에도 노조는 "지난해 주 52시간 근무제 위반으로 발생한 6000∼7000만원 규모의 임금이 밀린 상황에서 회장의 3주 해외 출장에 6000만원이 넘는 비용을 사용했다"며 협회장의 과도한 출장 비용도 문제 삼았다.
이에 대해 KPGA는 홈페이지에 김원섭 회장 명의의 입장문을 올려 "이번 징계는 전 임원의 강요와 무관하며, 협회 운영과 명예를 훼손하고 재정 손실을 초래한 중대한 업무 과실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했다.
KPGA 노조는 9월 초 경기도지방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 신청을 할 예정이다. 노동위 심의는 60일 내 심의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부당 해고 여부에 대한 1차 결과가 늦어도 11월에는 나올 전망이다.
thswlgh5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