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예찬] 일제강점기의 인어공주 이야기

2025-09-11

현재 호남관세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는 옛 군산세관은 일제 강점기 수탈의 핵심이었다. 1930년대 당시 군산 토지의 80%가 일본인의 소유였다. 세관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세관원의 창구 바닥을 민원인의 자리보다 높였기 때문에, 세관에 민원을 처리하러 온 조선인 민원인들은 일본인 세관원들을 올려다보아야 했다고 한다. 웹툰 <고래별>의 이야기는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옛 군산 세관을 폭파하려는 ‘결사단’의 의거가 실패하면서 시작한다.

주인공 ‘수아’는 군산의 조선인 부농이자 친일파인 여 씨 집안의 몸종이다. 수아는 독립운동 단체인 결사단의 단원 ‘의현’이 바닷가에 쓰러져 있는 것을 우연히 발견하고 생명을 구한다. 그러나 그녀는 군산 세관을 폭파하려고 했던 의거가 실패한 여파에 휩쓸려 목소리를 잃는다. 의현의 메시지를 다른 단원에게 전하려 했다가, 수아의 정체를 의심하는 결사단 단원 ‘해수’와 ‘연경’에 의해 양잿물을 마시고 만 것이다. 설상가상으로 모시던 여 씨 집안의 아가씨마저 잃은 수아는 경성으로 향한다. 그녀의 목적지는 결사단 단원의 은신처인 ‘고래별’이다. 목소리를 잃어버린 수아와 그녀가 목숨을 구한 의현, 그리고 수아의 목소리를 잃게 만든 해수는 ‘고래별’에서 재회한다.

결사단은 대한 독립이라는 하나의 목표를 위해 움직이지만, 단원들은 저마다의 가치관과 동기에 의해 행동하며 하나의 사건에도 서로 다른 태도를 취한다. 이러한 입체성은 인물 간 갈등을 촉발하는 요소인 동시에, 독자로 하여금 캐릭터를 살아 움직이는 것처럼 느끼게 한다. 파란의 시대에 ‘고래별’의 사람들은 어떤 선택을 하며, 어떤 삶을 살아갈 것인가.

‘목소리를 잃는다’는 설정에서 알 수 있듯, <고래별>은 인어공주 모티프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수아는 자기 자신을 물에 사는 물고기로 비유한다. 그녀가 살고 있는 군산, 더 좁게는 그녀의 일상적 세계가 ‘물속’이 된다. 수아가 인어공주라면, 의현은 왕자다. 수아가 쓰러져있는 의현을 구한 것은 뭍으로 떠밀려와 죽어있는 고래와 그를 겹쳐보았기 때문이다. 포경은 일제강점기에 일본 포경회사에만 주어진 특권이었다. 남획의 결과 해방 후 고래 개체 수는 급감하였다. 피 흘리며 죽은 고래는 수탈당하는 나라와 민족을 상징한다. 수아는 이해할 수 없다는 듯이 사람들이 ‘뭐가 그리 견딜 수 없는지, 그냥 살아지지가 않는 건지, 이깟 것(목숨)은 중하지 않다는 듯이 모두 제 몸을 내던진’다고 반복하여 독백한다. 의현을 만나기 전, 그녀에게 독립운동이란 불온한 조선인들이 벌이는 ‘뭍 밖’의 일이었다. 그러나 후반에서 수아는 나라와 민족을 향한 의현의 연심을 그녀의 핏줄에 흐르는 바닷물과 같은 것으로 비유한다. 그럼으로써 독립을 향한 염원은 몸속에 피가 도는 것과 같이 생리적이고 자연스러운 것이 된다. 초반부에서 수아가 죽은 고래를 발견한 날, 하루 종일 서러웠다고 말한 것도 같은 이유에서였을 것이다. 의식하지 못했을 뿐, 나라 잃은 설움은 언어나 논리가 아닌 온몸으로 느껴지는 것이었기에.

<고래별>은 시대에 부딪히고 바스러진 사람들의 이야기이자 한 인어공주의 성장담이기도 하다. “인어공주는 어떻게 되었나요?” 의현에게 인어공주 이야기의 결말을 묻던 수아는, 후에 자신의 질문에 대한 답을 스스로 찾았다. “그 답을 나는 반만 알게 된 것 같소.” 나머지 반의 답은 독자의 몫이다. <고래별>의 의미는 그렇게 완성된다.

박근형 만화평론가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일제강점기 #인어공주 이야기

기고 gigo@jjan.kr

다른기사보기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