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탐런·문과 침공에 문과생 "이번 생 망했다"
이과생 "의대 정원 증원 불안…반 포기 상태"
"내신 위해 1시간 넘는 학교가"
내신 성적 위해 '지역 학교' 진학
고1 "학습 부담 늘어, 고교학점제 폐지해야"
[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지역에 있는 학교의 내신 변별력이 떨어지는데 수시 모집뿐 아니라 정시에서도 이런 차이를 반영하지 않는다. 같은 문제로 갈리는 대학별 고사가 수능보다 공정한 시험 같다"
5일 오전 10시경 수능을 100일 앞두고 8학군 중 하나인 서울 양천구 목동 학원가에서 만난 수험생 김서영(18·가명) 양은 이같이 토로했다.
이날 현장에서 만난 문과생 대부분은 분통을 터뜨렸다. 이과생들이 대거 인문계열에 지원하는 이른바 '문과 침공'과 이과생들이 과학 탐구(과탐)가 아닌 사회 탐구(사탐) 과목을 선택하는 '사탐런' 현상이 심화하고 있어서다.
여기에 서울대학교는 2023학년, 연세대는 2026학년 정시부터 수능 100% 전형을 폐지했다. 대신 내신 성적이나 학생부를 반영하는 등 수능 성적만으로만 선발하는 정시 전형이 줄어드는 등 학교 성적이 중요해지면서 수능과 내신 어느 것 하나 소홀히 할 수 없게 됐다.

김양은 "집은 목동인데, 여기에서는 내신 점수를 잘 따기가 어려워 1시간 먼 강서구로 다니고 있다"며 "문과 계열 과목이 적성에 맞아서 선택했는데, 이과생들이 문과로 넘어와 좋은 학교에 가니깐 문과생 입장에서는 너무 힘든 부분"이라고 호소했다.
마케팅학과를 전공하고 싶다는 백현아(19·가명) 양은 "이과생들이 사탐 과목을 보면서 시험 난이도가 점점 높아져 힘들다"며 "문과는 입학과 취업도 어렵고 미래가 없어 보여 이번 생은 망한 것 같다"고 말했다.
학생들은 올해 수능에 지난해보다 많은 수험생이 몰리는 탓에 경쟁률이 높아지는 점도 우려했다. 출생률이 상승했던 2007년 황금돼지띠의 영향으로 고3 수험생이 약 3만명 증가했고, 여기에 재수생들이 합세하기 때문이다.
이어 그는 "문과는 문과 전공을, 이과는 이과 전공을 하는 등 이전처럼 다시 분리하는 제도로 돌아가야 한다"며 "올해 경쟁률도 높은 마당에 이과생보다 더 좋은 점수를 내기 위해 공부를 더 열심히 해야 하는데, 논술에 수능까지 준비해야 할 게 너무 많다"고 덧붙였다.
홍영지(19·가명) 양은 "사실 문과가 더 적성에 맞는데 입시에 더 유리한 이과를 택했다"며 "나중에 사회 탐구를 중복 선택할 생각도 있고, 주변 다른 친구들도 한 과목씩은 섞어서 한다"고 말했다.
이과생들도 불안하긴 마찬가지였다. 임현상(18·가명) 군은 "의대 정원을 지금도 알 수 없는 상태라 불안하기도 하고 반쯤 포기 상태"라며 "같은 의대를 지원하더라도 내신이 상대적으로 서울에 비해 따기 쉬운 지역 학교 친구들과 경쟁하다 떨어질 수도 있을 것 같아 너무 억울하다"고 했다.
고교 학점제에 대한 비판도 쏟아졌다. 올해부터 현재 고1 학생을 대상으로 고교 학점제가 전면 도입됐다. 학교에서 짜 준 시간표 대신 학생이 직접 과목을 골라 진로를 설계하도록 해 교육의 다양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박지석(17·가명) 군은 "고교 학점제가 없어졌으면 좋겠다"며 "고교 학점제 과목도 챙기고 수시에 정시도 챙겨야 해 부담이 된다"고 말했다.
이어 "어차피 흥미가 아니라 점수에 따라 고교 학점제 과목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며 "어차피 성적 높은 사람이 이기는 거 아니겠냐"고 반문했다.
김홍권(17·가명) 군은 "반 친구 중에는 1학기 시험을 보고 내신 성적 때문에 지방으로 전학도 가고 자퇴도 고민하는 친구도 있고 '조금 삐끗해도 망한다'는 분위기"라며 "이런 상태인데 정부의 입시 정책이 또 바뀌지나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aaa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