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국민성장펀드 150조로 확대…‘미래 먹거리’ 향한 자본 재편

2025-09-10

(조세금융신문=진민경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공약한 ‘국민성장펀드’가 기존 100조원에서 150조원 규모로 확대된다.

대통령실은 10일 국민성장펀드 확대 계획을 공식 발표하고, 관련 운영 방향을 공유하는 ‘국민보고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대회에는 최태원 SK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박승희 삼성전자 사장,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 권용현 LG유플러스 전무, 김동욱 현대자동차 부사장, 이종민 SK텔레콤 부사장, 박상진 산업은행장 등 주요 민간·금융계 인사들이 참석했다.

정부 측에서는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이찬진 금융감독원장 등이 자리했다. 대통령실에서는 김용범 정책실장, 하준경 경제성장수석,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이 참석했으며, 국회에서는 강준현 정무위원회 간사, 민병덕·허영 의원이 함께했다.

국민성장펀드는 정부가 첨단 전략산업 기금 75조원과 민간·국민 자금 75조원을 합쳐 조성하는 대규모 정책 펀드로 총 150조원 규모다. 정부는 첨단 전략산업 기금이 선제적으로 위험을 부담해 민간 참여를 유도하는 구조를 설계했다. 2026년부터는 민간·국민 자금에 1조원 규모의 후순위 재정을 추가로 투입해 재정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펀드는 첨단 전략산업, 벤처·스케일업·R&D, 지역성장 프로젝트 등 세 분야에 중점 투자된다. 정부는 반도체, 인공지능(AI), 이차전지, 바이오, 항공우주 등을 전략산업으로 지정해 집중 지원하고, 연구개발 및 벤처 기업 스케일업과 지역균형 성장을 위한 프로젝트에도 자금을 투입한다.

운용 방식은 직접 지분투자, 인프라 투·융자, 간접투자, 초저리 대출 등 네 가지 형태로 나위며 기업의 수요에 따라 적합한 방식이 적용된다.

산업별로는 AI 분야에 30조원, 반도체에 20조9000억원, 모빌리티에 15조4000억원, 바이오·백신 분야에 11조6000억원, 이차전지에 7조9000억원이 배정됐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 수소·연료전지, 항공우주·방산, 원자력·핵융합, 로봇, 미디어·콘텐츠 등에도 자금이 공급된다.

금융위원회는 “이번 국민성장펀드가 금융의 생산적 영역 확대를 이끄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부동산, 예금, 수도권 중심이던 자금 흐름을 생산적 분야로 유도하는 동시에 글로벌 수준의 투자은행 육성, 코스닥 회수시장 활성화, 금융 규제 개선까지 병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전날 국무회의에서 “장롱 속의 금반지를 모아 IMF 외환위기 국난을 이겨내고 IT 강국의 초석을 닦았던 것처럼 인공지능 세계 3강으로 향하는 길도 우리 국민들이 함께해야 비로소 이룰 수 있다”며 “이를 위한 마중물인 국민성장펀드에 차질 없는 출범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