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임플란트 업계의 가장 큰 화두는 중국 시장이다. 국내 임플란트 회사들의 최대 수출 시장인 중국으로의 지난해 임플란트 수출액은 3억 3630만 달러, 전체의 40%에 육박한다. 향후 5년간 연평균 성장률(CAGR)이 20%에 이를 것으로 전망될 만큼 북미·유럽보다 성장성이 크다.
하지만 최근 중국이 실시한 가격통제 정책인 중앙집중식구매(VBP) 제도에 국내 임플란트 기업들의 우려가 크다. VBP는 중국 정부가 환자들의 임플란트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국공립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낮은 가격에 의약품을 대량 구매하도록 한 제도다. 기업들이 낙찰을 위해 공격적으로 가격을 내려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메가젠임플란트가 중국에서 처음 품목 허가를 받은 건 2009년이지만 본격적 진출은 올해부터다. 박 대표는 “한정된 회사 자원을 모든 시장에 똑같이 투입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초반엔 유럽 시장에 ‘선택과 집중’을 했다”며 “최근 중국 시장 공략에 힘을 싣고 있다”고 말했다.
VBP에 대응하기 위한 메가젠의 전략은 ‘투트랙 접근’이다. 박 대표는 “VBP에 들어가는 아이템과 들어가지 않는 아이템을 구분하는 양동작전을 하고 있다”며 “중저가 임플란트 라인은 중국 시장점유율을 위해 VBP에 내주고 프리미엄 제품은 민간 병원에 따로 공급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품질 우선’ 원칙을 지키면서도 중국 현지 시장 환경에 최적화된 방식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다. 그는 “메가젠은 자체 개발한 다양한 임플란트 라인이 있기 때문에 우리만의 전략을 펼칠 수 있다”며 “다양한 라인이 없으면 가격을 떨어뜨리는 전략밖에 할 수 없다”고 힘줘 말했다. 성과는 빠르게 나오고 있다. 박 대표는 “‘블루 다이아몬드’ 임플란트 등 차별화된 프리미엄 브랜드를 선보여 중국에서 매년 매출이 50% 이상 성장하고 있다”며 “유럽과 미국에서 인정받은 품질력과 기술력이 중국에서도 통하고 있다”고 말했다.
메가젠의 성장세가 가파른 만큼 상장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박 대표는 메가젠이 현재 전 세계 100여 개국에 진출해 있는 만큼 현지 법인 내실 다지기가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그는 “중국·미국 등 주요 해외 법인들의 경영 상태를 안정화해 흑자 전환하는 게 급선무”라며 “연말 해외 법인들의 미수금 등 경영 상황이 정리가 되면 내년부터 기업공개(IPO) 준비를 본격화할 것”이라고 귀띔했다.
메가젠은 ‘예측이 가능하고 계획한 대로 이룬다’는 슬로건에 따라 5년마다 중장기 계획을 세운다. 박 대표는 “2030년까지 매출 1조, 전 세계 3대 임플란트 회사로 성장할 것”이라며 “의사에게도 환자에게도 가장 우수한 임플란트 솔루션을 제공해 ‘세계에서 가장 믿음직스러운 임플란트 회사’가 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2030년에 메가젠을 꼭 다시 지켜봐달라”는 박 대표의 말에서 자신감이 느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