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해병 수사 재개가 청년의 억울한 죽음을 밝히는 시작이 되길 촉구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대한민국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청년본부의 황대호 수석대변인이 9일 채상병 사망 사건 관련 수사 재개에 대해 논평을 내고 "청년의 억울한 죽음을 밝히는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황 대변인은 "징집당한 군인의 죽음은 국가의 책임"이라며 "국가는 청년들에게 국방의 의무를 요구하는 만큼 그들의 생명과 안전을 보장할 의무 또한 져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과거 군 복무 중 발생한 사망 사건들이 '훈련 중 사망'이라는 단 한 줄로 처리됐던 현실을 지적하며 "민주화 이후 그 진실이 조금씩 드러나고 있다"고 말했다.
채상병 사건에 대해서는 "누가 구명복도 없이 젊은 청년들을 물속으로 내몰았는지, 누가 실질적 지휘자인 사단장을 비호했는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며 "해병대 사령관의 일관되지 않은 발언은 여전히 의문을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황 대변인은 현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대통령비서실과 국가안보실을 상대로 압수수색을 재시도하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법원이 발부한 영장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피의자로 적시돼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윤 전 대통령이 임성근 당시 해병대사단장을 비호하려 했다는 의혹에 대해 국민적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며 "이는 합리적인 의심"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공수처의 수사력에 대해서는 "검사 수도 적고 수사 권한도 제한적"이라며 우려를 나타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 수사가 정의의 시작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황 대변인은 "대한민국의 청년들은 기꺼이 국가의 부름에 응한다"며 "그렇기 때문에 청년의 죽음 앞에 국가가 먼저 책임을 져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이번 수사가 '국가의 책임'을 구체적으로 규명하는 계기가 되어야 하며, 윤석열 전 대통령을 포함한 당시 지휘라인의 책임 여부도 밝혀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그는 "진실 규명을 통해 희생당한 청년의 군 복무 가치가 되살아나기를 소망한다"고 전했다.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