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서울아트마켓 이후 흐름 점검… 잠비나이 사례 등 공유
국내 시장 한계 넘어 해외 무대 활용… 지속적 네트워크 구축 강조
신진부터 중견까지 다양한 해외 진출 모델 모색, 3년간 마켓 이어질 예정

2025 전주세계소리축제의 신설 프로그램 ‘소리 넥스트’가 15일 마지막 포럼을 열고 한국 전통예술의 해외 진출 모델을 재점검했다.
이날 오전 11시 송천동 ‘평화와 평화’ 산책 종점에서 열린 ‘전통예술 해외진출 모델 전환과 모색’ 포럼에는 김미소 DMZ 피스트레인 뮤직페스티벌 총감독이 사회를 맡았고, 천재현 전통예술 연출가, 계명국 자라섬재즈페스티벌 감독, 김형군 더텔테일하트 대표가 패널로 참석했다.
포럼에서는 2000년대 중반 서울아트마켓 출범 이후 본격화된 전통예술 해외 진출의 흐름과 배경이 공유됐다.
김미소 총감독은 “전통예술이 해외에서 주목받기 시작한 시점은 15~20년 전”이라며 “정책 지원과 아티스트들의 열망이 맞물리며 활발한 교류가 이어졌다”고 말했다.
계명국 감독은 “초기에는 해외 아티스트 초청에 집중했지만, 2010년 전후부터는 한국 아티스트를 해외에 소개하는 교류가 활성화됐다”며 “덴마크 ‘워멕스’의 ‘코리안 나이트’가 전환점이었다. 국악에 대한 해외 네트워크의 호응이 큰 동력이 됐다”고 회고했다.
김형군 대표는 밴드 ‘잠비나이’를 사례로 들며 “비행기표 지원을 받아 쇼케이스에 참여했는데 공연 제안이 이어졌고, 6개월 만에 40회 투어가 성사되기도 했다”며 “처음엔 단순한 욕망에서 출발했지만, 활동이 커지면서 해외 투어가 팀의 중요한 축이 됐다”고 설명했다.
천재현 연출가는 “시장 확대보다는 예술가들이 성장할 기회를 만들기 위해 나갔다”며 “다른 장르 예술가와 협업하며 더 깊이 있는 경험을 쌓는 것이 목표였다”고 덧붙였다. 이어 “홍콩 등 해외 교류를 계기로 국제 무대로 나갔고, 단순 공연 초청이 아닌 콜라보를 통한 창작 역량 강화에 집중했다”고 말했다.
현장에서는 지원정책의 변화와 한계도 논의됐다. 과거 아티스트 중심이던 지원이 무대기술, 연출, 기획, 홍보 인력까지 확대됐지만, 코로나19 이후 투어 비용 급등과 사업 제약으로 부담이 커졌다는 지적이다.
김형군 대표는 “한국의 지원 규모가 세계적으로도 큰 편이지만, 주요 공연 시장과의 물리적 거리가 멀어 교통·물류비가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말했다. 계명국 감독은 “아시아 투어도 유럽보다 비용이 더 드는 경우가 있다”며 “지원은 늘었지만 투어 전략의 자유도는 오히려 낮아졌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세 패널은 해외 무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천재현 연출가는 “한국이나 대만, 홍콩처럼 인구가 작은 시장만으로는 생계를 유지하기 어렵다. 국내에서 전국 투어나 축제 공연으로 자리를 만들고 일을 만들어 가는 과정 속에서 해외 시장 역시 분명히 존재한다. 해외는 최종 목적이 아닌 하나의 과정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계명국 감독은 “돈이 되지 않고 팀만 데리고 다니는 투어이지만 해야 할 이유가 있다. 아직 만나지 못한 관객이나 시장, ‘파랑새’를 찾아 떠난다는 마음으로 해외 투어를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형군 대표는 “해외 진출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중요한 것은 아티스트로서 하고 싶은 일을 충실히 해나가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미소 총감독은 “소리 넥스트는 전주세계소리축제가 전통예술 유통 거점으로 성장하기 위한 첫걸음”이라며 “단발성이 아닌 지속적인 네트워크와 기회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포럼을 마무리하며 계명국 감독은 “올해 시작된 마켓이 3년간 이어질 예정”이라며 “잠비나이처럼 꾸준히 활동하는 팀부터 신진 아티스트까지 다양한 해외 진출 경로와 모델을 함께 만들어가자”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