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오후 신가평변환소 건설현장 점검
산하 공기업 사장 9명 건설현장으로 소집
"중대재해 발생시 가장 높은 수준 패널티"
"불법하도급·납품단가 후려치기 무관용"
[세종=뉴스핌] 최영수 선임기자 =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산하 공공기관 '군기잡기'에 나섰다.
지난주 한미 관세협상을 마무리한 이후 이번 주부터는 내부 단속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한전을 비롯한 산하 공공기관장을 건설현장으로 소집한 것으로 매우 이례적인 것이다. 김 장관이 일종의 충격요법을 통해 산하기관 '군기잡기'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김 장관은 5일 오후 경기도 가평군에 위치한 신가평변환소를 방문해 전력인프라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하고, 에너지 유관기관과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신가평변환소는 동해안-수도권 직류송전선로(HVDC) 1단계 종점으로 송전선로의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설비다.
이날 소집된 산하기관은 한국전력공사와 한국수력원자력, 남동·남부·동서·서부·중부발전 등 발전5사, 석유공사, 가스공사 등 9곳이다.
산업부 장관이 취임 이후 상견례 성격으로 산하기관장과 간담회를 갖는 것은 관례지만, 건설현장으로 공기업 사장단을 소집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것이다.
그만큼 공기업의 중대재해를 근절하고 산재를 예방하고자 하는 김 장관의 의지가 담긴 것 아니냐는 게 관가의 해석이다. 산하기관 입장에서는 일종의 '충격요법'이 셈이다.
이같은 의지를 반영하듯 이날 간담회에서 김 장관의 메시지도 과거 장관들보다 훨씬 강경했다.
김 장관은 "업계의 모범이 되어야 할 에너지공기업의 연이은 중대재해에 큰 우려를 표한다"면서 "오늘 이후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중대재해가 발생할 경우 중대재해처벌법 등 법적 처벌과는 별개로 해당 기관에 산업부가 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수준의 패널티를 부여하겠다"고 경고했다.
이어 "불법하도급, 납품단가 후려치기 등 산업재해를 유발할 수 있는 불법적 사안이 발견된 경우에도 무관용 원칙으로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남아있는 하계 전력수급기간 동안 우리 국민들의 전력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전력설비 운영·관리에도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공기업 사장단은 중대재해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최고경영자의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는데 뜻을 모았다.
이에 따라 사고 예방에 충분한 예산을 투입하고, 현장에 적합한 안전절차를 확립하며, 충분한 안전인력을 투입하는 등 안전을 최우선하는 시스템을 착근시켜 나가기로 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위험성 높은 공간에 첨단기술을 활용한 안전장비를 선도적으로 적용하고, 협력사 근로자도 안전한 작업장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산업안전 상생협력 모델을 만들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drea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