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무형유산 판소리 ‘심청가’의 이수자이자 ‘춘향가’ 전수자인 노은주 명창(48·남원)은 “판소리는 제 옷과 같다”고 말했다.
노 명창은 열한 살 무렵 남원국악원(현 남원시립국악연수원)에서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예능보유자 강도근을 만나 판소리의 길에 첫발을 내디뎠다.
중학교 1학년 때에는 강 명창의 제자인 전인삼 명창을 스승으로 모시며 음 하나하나를 세밀히 배우고 기량을 다졌다.
그리고 남원 용성여중과 한남여고(현 남원서진여고)를 거쳐 1996년 전남대 국악과에 진학했다. 수원대 음악대학원에서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대학 1학년 때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흥보가’ 예능보유자 한농선의 소리에 매료된 그는 서울로 올라와 직접 사사하며 소리 공부에 매진했다.
이후 인간문화재 성창순, 조상현, 신영희 등 국악계를 대표하는 원로 명창들을 찾아다니며 전통을 몸소 익혔다.
노 명창은 “5분짜리 소리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한 달 동안 매일 7시간씩 연습하고, 최소 만 번은 불러야 내 것이 된다”고 했다.
그는 자기 관리를 위해 생활의 기본 수칙을 지켜야 하며, 건강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회를 준비할 때는 산사에서 좋은 공기를 마시며 매일 108배와 2만 보 이상을 걷고, 하루 7시간씩 한 달 동안 반복 연습을 이어간다고 전했다.
그는 전국국악경연대회에서 2002년 국무총리상을, 2019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또 6차례 도전 끝에 지난해 6월 열린 제36회 목포전국국악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의 영예를 안았다.
최근 K-컬처가 세계적인 흐름으로 자리 잡은 가운데 판소리는 1964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됐으며, 2003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다.
노 명창은 “일반인들도 우리 고유의 소리인 판소리를 더욱 넓고 깊게 즐기고 이해하기 바란다”며 판소리 대중화를 위해 내용을 쉽게 정비하고 창작곡을 만들어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자랑스러운 전북인의 한 사람으로서 판소리 본향의 후예답게 예술 발전에 더욱 정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재경 전북인] #노은주 명창
송방섭 sbssongb@naver.com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