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버는 ‘자율주행’이라는 미래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다라 코즈로샤히 우버 최고경영자(CEO)는 1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연례 콘퍼런스 ‘고겟’(Go-Get)에서 ‘공유 자율주행 서비스’를 선보인다며 이같이 밝혔다.
우버는 글로벌 완성차 기업 폭스바겐과 협력을 통해 올해 말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공유 자율주행 서비스 테스트를 시작한다. 내년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출시한다. 차량은 폭스바켄 ID 버즈로 전기차다.
공유 자율주행 서비스는 행선지가 비슷한 서로 모르는 다수의 사람이 하나의 자율주행차에 타서 이동할 수 있는 서비스다. 로보택시가 한 명 또는 서로 아는 여러 명을 태우는 것과 차이가 있다. 공유 자율주행 서비스는 여러 명이 요금을 분담하기 때문에 1인당 탑승료가 저렴하고 도로 위 차량 수를 줄여 탄소 배출 저감 효과도 기대된다. 웬디 이 자율주행 모빌리티 및 딜리버리 제품 총괄은 “향후 10년 동안 수천 대의 폭스바겐 자율주행차가 미국 전역에서 운행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친 칸살 우버 최고제품책임자(CPO)는 “서로 다른 사용자가 자율주행차를 공유해서 비용 절감은 물론 도로 위 차량 수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우버는 자율주행 기술 개발 기업과 협업을 통해 발 빠르게 생태계를 구축하며 주도권을 강화하고 있다. 현재 18개 기업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며 이들 기업의 자율주행 기술을 우버 플랫폼에 통합하고 있다. 별도의 앱 없이 우버 앱 하나로 자율주행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는 편의성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확산하고 있다. 우버는 올해 1분기 기준 연간 150만 건의 자율주행을 했다고 발표했다. 우버는 자율주행 선두 주자로 꼽히는 구글 웨이모와 손을 잡았다.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과 애리조나주 피닉스에서 웨이모 자율주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대차(005380)도 우버의 파트너다. 양사는 글로벌 로보택시 서비스를 확대하고 자율주행 기술 확산을 위한 협력 관계를 강화한다. 구체적 협업 방안은 논의 중이다. 현대차그룹의 자율주행 자회사인 모셔널과도 파트너십을 이어가고 있다.

우버는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로 확장하고 있다. 중국 스타트업 모멘터와 협업해 내년 초 유럽 서비스를 시작한다. 중동 시장 문도 두드리고 있다. 중국 위라이드와 향후 5년간 전 세계 15개 도시에서 서비스를 확대한다.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와 두바이 등에서 운영을 시작할 계획이다. 중국 스타트업 포니AI와 손 잡고 중동 공략도 추진한다. 글로벌 전기차 1위 기업 중국 비야디(BYD)와도 자율주행 협력을 논의 중이다.
우버는 자율주행 기반의 배달과 트럭 운송 서비스도 구현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가 투자한 스타트업 오로라와 무인 트럭 배송 서비스를 시험하고 있다. 2021년 말부터 텍사스주에서 우버의 화물운송 서비스인 '우버 프레이트' 고객을 대상으로 댈러스~휴스턴 구간의 자율주행 트럭 시범 운행을 진행해 왔다. 애브라이드, 서브, 뉴로, 카트켄 등과 11개 도시에서 자율주행 배달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경쟁사들도 추격하고 있다. 자율주행 개발을 넘어 운영까지 추진하는 테슬라는 다음 달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완전 자율주행 로보택시 영업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테슬라는 캘리포니아주에서도 로보택시를 운영할 예정이다. 올해 3월 캘리포니아 공공사업위원회(CPUC)는 테슬라에 상업용 전세 운송 허가(TCP)를 발급했다. 자율주행차가 테슬라 임직원을 정해진 경로로 운송한 것을 허용한 것으로 대중 대상 서비스를 위해서 추가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일론 머스크 CEO는 올해 2월 1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에서 “올해 말까지 미국 몇몇 다른 도시들에서, 아마도 내년에는 미국 전역에서 완전히 자율주행하는 테슬라 서비스를 출시할 것이라고 확신한다”며 “아마도 내년에는 사람들이 (호출 서비스에) 자기 차량을 추가하거나 뺄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숙박공유 서비스) 에어비앤비에서 자기 집을 목록에 올리거나 뺄 수 있는 것과 비슷할 것"이라고 전했다.
미국의 승차호출 서비스 기업 리프트도 우버처럼 파트너십을 통해 자율주행 시장을 공략한다. 스타트업 메이 모빌리티와 손잡고 연내 애틀란타에서 자율주행 차를 선보일 계획이다 인텔 모빌아이와 내년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로보택시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카카오(035720)모빌리티가 인수를 고려했던 유럽 최대 택시 호출 플랫폼 ‘프리나우’를 확보하며 유럽에서도 자율주행 서비스를 선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판 우버인 디디추싱은 자율주행 조직인 디디 오토노머스를 통해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도 자율주행 기술 기업과 협업을 확장하고 있다. 에스더블유엠(SWM)과 협업해 서울시 최초의 차량호출형 서비스인 ‘서울자율차’를 운영하고 있다. 라이드플럭스와 제주도 내 첨단과학기술단지 일대를 주행하는 ‘네모라이드’ 서비스를 선보였다. 라이드플럭스는 국내 기업 최초로 무인 자율주행차 일반 도로 임시 운행을 허가받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