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 30대가 되기 전 비만이 되면 일찍 죽을 확률이 약 2배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2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더타임스에 따르면 최근 스페인 말라가에서 열린 유럽비만학회 총회에서 스웨덴인 남성 25만8269명과 여성 36만1784명의 체중 변화를 추적하고 사망률을 분석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남성과 여성의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각각 23년, 12년이었으며, 연구 기간에 남성 중 8만6673명, 여성 중 2만976명이 사망했다.
연구 대상자들은 나이가 들면서 체중이 늘었으나, 청년기에 체중이 늘면 중년기에 느는 경우보다 사망률이 훨씬 높았다.
연구에 따르면 17세에서 29세 사이가 '핵심적 생애 단계'이며, 이 기간에 암, 제2형 당뇨병, 심장병 등 향후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날씬함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만 30세가 되기 전에 비만이 됐던 남성과 여성은 연구 기간 동안 사망할 확률이 젊을 때 건강 체중을 유지했던 이들보다 각각 79%, 84% 높았다. 전반적으로, 성인 초기에 체중이 1파운드(0.4536㎏) 증가하면 조기 사망 위험이 20% 넘게 증가했다.
연구 대상자들의 연령은 17세에서 60세 사이였으며, 평균적으로 1년에 약 1파운드씩 체중이 증가했다.
비만은 삶의 모든 단계에서 조기 사망 위험을 높였지만, 나이가 들면서 위험 증가폭은 줄어들었다. 30세에서 45세 사이에 비만이 되면 위험이 52% 증가했고, 45세에서 60세 사이에 비만이 되면 전체 위험이 약 25% 증가했다.
사망 원인을 조사한 결과 심장 질환, 제2형 당뇨병, 간암, 신장암, 자궁암이 비만과 가장 강한 연관성이 있는 질환으로 드러났다.
또한 성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여성의 경우, 체중 증가는 삶의 어느 단계에서 체중이 증가했는지에 관계없이 암 사망 위험에 영향을 미쳤다.
연구를 이끈 타냐 스톡스 스웨덴 룬드대학 교수는 “20대에 조금만 체중이 증가하더라도, 체중 증가 상태가 몇 년간 지속되면 조기 사망 위험이 크게 높아질 수 있다”며 “이 중요한 인생의 시기에 건강한 습관을 길러주면 지속적인 이점이 있다”고 말했다.
이원지 기자 news21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