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향후 수백조 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기대되는 국내 해상풍력 시장에 국산 터빈이 본격적으로 진출할 수 있게 됐다. 해상풍력 경쟁 입찰에서 외국산이나 외국 기술 터빈을 사용하기로 한 민간 프로젝트가 모두 탈락하면서 정부가 해상풍력 공공성·안보 강화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는 2025년 상반기 해상풍력 경쟁 입찰 진행 결과 공공주도형 분야에서 입찰 참여 4개 사업자가 모두 선정됐다고 밝혔다. 4개 사업자의 총 설비 용량은 689메가와트(㎿)로 당초 공고됐던 공공 분야 설비 용량(500㎿ 내외)을 초과했다. 반면 목표 물량이 750㎿ 안팎이었던 일반형 분야에서 사업 계획을 낸 2개 사업자는 모두 탈락했다. 낙찰된 사업자들은 생산한 전기를 20년간 고정 가격에 판매할 권리를 보장받아 장기적으로 안정적 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
시장에서는 처음 운영되는 공공 입찰 분야 내 신청 사업자가 모두 선정된 반면 일반 분야 신청 사업자는 모두 탈락한 점에 주목했다. 정부가 안보·공급망 기여도에 중점을 두겠다는 신호를 보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번 입찰에서 낙찰자로 선정된 사업 중 서남권 해상풍력 시범단지를 제외한 나머지 3개 사업은 모두 두산에너빌리티의 10㎿ 대형 터빈을 사용하겠다는 계획을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로써 두산에너빌리티의 10㎿ 터빈은 시장에 본격적으로 첫 발을 내딛게 됐다.
정부가 해상풍력 발전 시장 내 공급망 강화에 나선 것은 국내 시장 규모가 빠르게 커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정부는 당장 2030년까지만 해도 약 14기가와트(GW) 규모의 해상풍력 설비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여기에만 약 100조 원의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추산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안보 지표와 공급망 지표를 강화하는 데에 초점을 맞춰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