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석 국무총리가 22일 오후 서울 중구 민주노총을 방문해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을 바라보며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사진=뉴스1
김민석 국무총리가 양대 노총을 만나 "앞으로 노동계와 적극적으로 대화하는 일도 훨씬 더 노력하겠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기조와 신뢰고 그런 방향을 가지고 하나하나 풀어가겠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22일 오후 서울 중구에 위치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사무실을 찾아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이날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김 총리에게 노정 간 교섭을 촉구했다. 양 위원장은 "노동자들과 노정 교섭을 통해 다양한 목소리를 직접 듣고 정부의 정책 방향을 결정해야 실효성을 담보할 수 있으며 불평등과 양극화를 해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김 총리는 "노동 문제뿐만이 아니라 모든 사회적 문제, 사회적 갈등이 유발될 수 있거나 의미가 크거나 여러 계층에 걸쳐 있는 문제들은 보다 폭넓은 사회적 대화 방식으로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폭넓은 사회적 대화와 토론과 협약을 추구하는 새로운 사회 운영 방식과 체제는 불가피하게 우리가 갈 길이 됐다고 본다"며 "민주노총과 새 정부가 새로운 시대의 수준에 맞는 대화와 협력의 체제 틀을 만들 수 있도록 정성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태안 화력발전소 근로자 사망사고 협의체 구성과 관련해서는 "지금이라도 빨리 협의가 진행돼야 한다"며 "최대한 주제의 성격을 잘 나눠서 불가피한 부분은 포괄적으로 다루되 당사자 간 명료한 부분은 존중하면서 가급적 (논의가) 빨리 진행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석(오른쪽) 국무총리가 22일 오후 서울 영등포 한국노총을 방문해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의 인사말을 듣고 있다./사진=뉴시스
김 총리는 이날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에서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간담회에 참석하기도 했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정년 연장 문제 매듭 △노조법 2·3조 개정 △소통 정례화·채널 다변화 등을 요청했다.
김 총리는 "현재 새 정부가 시작한 지 한 달이 지나 아직 기본 틀도 안 갖춰진 상황에서 대통령의 개인적인 리더십 중심으로 뛰어갈 수밖에 없다"면서 "정부 틀이 어느 정도 갖춰지면 저희가 꿈꾼 다양한 토론과 대화, 소통 정례화 제도 틀이 갖춰질 것"이라고 말했다.
노동계 주요 현안인 노란봉투법(노조법 2·3조)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국회 결정 사항"이라며 "국회가 결정할 때 저도 국회의원으로서, 현재 의원직을 유지하며 속해있는 사람이기 때문에 어떤 큰 틀에서 당의 기조가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노란봉투법은 하청 노동자에 대한 원청 사용자 책임을 강화하고 파업 노동자에 대한 기업의 손해배상 청구를 제한하는 동시에 쟁의행위의 범위를 넓히는 게 골자다. 노란봉투법은 한 차례 국회 본회의 문턱을 넘었으나 윤석열 전 대통령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로 폐기됐다.
정년 연장 문제와 관련해서는 "의외로 비교적 젊은 층에서 정년 연장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지고 있다는 사회적 변화를 느꼈다"며 "보다 다 폭넓은 사회적 공감의 틀 속에서 적절한 수준으로 제도화할 것인지 고민하는 단계에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