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도신공항은 지역균형발전, 김해국제공항 포화 문제 해결 등의 명분으로 2000년대부터 추진돼 무산과 재추진을 반복해 왔다. 그 사이 명칭도 ‘남부권 신공항’ ‘동남권 신공항’ ‘영남권 신공항’ 등으로 변경되고 여야 정권 교체에 따라 건설 지역이 경남 김해에서 부산 가덕도로 바뀌는 부침을 겪었다. 진통 끝에 부지 조성 공사 시공 우선협상 대상자를 찾으며 사업이 본격화하는가 했지만 정부와 시공사가 공기를 두고 이견을 보이며 사업이 사실상 무산되기에 이르렀다.
8일 관계기관에 따르면 영남 지역에 공항을 추가로 지어야 한다는 여론은 2002년 김해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를 계기로 형성됐다. 김해국제공항의 포화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과 함께 지역균형발전의 필요성도 거론되면서 2006년 노무현 전 대통령은 남부권 신공항 건설 검토를 공식 지시했다.
이후 동남권 신공항 건설을 대통령 선거 공약으로 내걸었던 이명박 전 대통령은 2011년 공약 이행 불가를 공식 발표했다. 타당성 조사를 거친 결과 사업성이 없다는 것이 이유였다. 정권을 이어받은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6년 신공항 대신 기존 김해공항을 확장하기로 결정했다.
무산되는 듯했던 동남권 신공항은 문재인 정부 들어 다시 부활했다. 2018년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오거돈 부산시장, 송철호 울산시장, 김경수 경남지사를 중심으로 ‘부울경 자체 검증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김해신공항에 대한 자체 검증을 실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정부에서는 김해신공항 건설 재검토에 돌입했고 2020년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제1야당인 국민의힘 모두 가덕도신공항 특별법을 발의하며 추진이 본격화했다. 특히 2021년 치러진 부산시장 보궐선거를 계기로 가덕도신공항이 부산의 숙원 사업이라는 것이 부각되고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하며 가덕도신공항 추진의 법적 근거까지 마련됐다.
가덕도신공항은 2022년 4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예비타당성조사도 면제받았다. 이 때 국토부는 가덕도신공항의 경제성이 없다고 평가했지만 선거를 앞두고 여야가 합심해 예타 면제를 결정해 13조 7000억 원의 예산 투입이 결정됐다.
당초 가덕도신공항은 2035년 6월 개항이 목표였지만 2030년 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에 힘을 싣기 위해 정부가 2029년 12월로 개항 시기를 앞당겼다. 2023년 말 엑스포 유치가 무산된 뒤에도 지역사회의 목소리 등을 반영해 조기 개항 계획은 유지됐다. 하지만 무리한 공기와 엄격한 컨소시엄 조성 요건에 부담을 느낀 건설사들이 부지 조성 공사 입찰에 참여하지 않으며 시공사 선정조차 어려움을 겪었다. 4차례 유찰 끝에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응찰해 수의계약 절차가 진행됐지만 정부가 현대건설의 설계 기간 연장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으며 사업이 사실상 무산되기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