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경호원 배치에 삼엄한 분위기… 조선팰리스 통제
비공개 동선에 총수들 포착 어려워… 지하통로 의혹도
한화·네이버 등 주요 그룹 수장 면담… 협력 논의
미국 사업 비중 큰 그룹 총수들 추가 접촉 주목
[서울=뉴스핌] 조민교 김아영 기자 =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한국 재계 총수들과 릴레이 회담을 진행하고 있다. 회담 장소로 알려진 조선팰리스 강남 일대는 이른 오전부터 오후까지 삼엄한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30일 이른 오전부터 경찰은 건물 안팎에 배치돼 돌발 상황에 대비했다. 혹시 모를 돌발상황에 대비해 인근을 주시하는 모습이었다. 오후께 경찰은 대부분 철수했으나 사설 경호원은 여전히 배치된 상태다.

건물은 동관과 서관으로 나뉘어져있으며 이에 따라 출입문은 곳곳에 있었다. 다만 주요 출입문에 모두 기자들이 대기 중이었음에도 총수를 만날 수는 없었다. 회담이 극비리로 진행된 만큼 총수들의 면담 시간과 동선이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트럼프 주니어와 재계 총수들은 이번 논의 사항을 철저히 비공개에 부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호텔 측은 전날 밤 10시부터 지하 4층을 통제했다. 표면적으로는 주차장 바닥 도장 보수 공사를 이유로 들었으나, 트럼프 주니어 방문 당일에 돌연 공사가 진행됐고, 경호 인력과 수행 비서가 움직이는 모습이 포착돼 지하 공간이 재계 인사의 비밀 통로로 활용됐다는 추측도 제기됐다.

유일하게 언론에 목격된 건 한화그룹 3형제다. 오전 8시45분께 한화그룹 김동관 부회장과 김동원 한화생명 사장,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부사장은 건물 1층 스타벅스에서 포착됐다. 트럼프 정부가 조선업에서 주요 파트너로 한국을 지목했고, 한화그룹이 방산·조선 사업에서 미국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만큼 가장 이른 시간에 접선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김동관 부회장은 이날 오후 거제 사업장으로 이동해 존 펠란 장관을 맞는 등 바쁜 일정을 소화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해진 네이버 의장과 트럼프 주니어와의 면담 사실도 확인됐다. 네이버 측은 "AI, 기술, 글로벌 진출 관련 협력 방안을 논의했으며, 긍정적인 대화를 나눴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허용수 GS에너지 사장, 이재현 CJ그룹 회장, 신유열 롯데그룹 미래성장실장 부사장, 조원태 대한항공 회장도 각각 개별적으로 면담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권에서는 양종희 KB금융 회장이 국내외 글로벌 금융시장 전반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면담은 1:1 대면 형식으로 짧게는 30분, 길게는 1시간 이상 진행됐다.
오후에도 주요 재계 인사들의 방문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구자은 LS 회장,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등 미국 사업 비중이 높은 기업들의 총수들이 트럼프 주니어를 찾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당초 이번 릴레이 면담에는 총 20여 명의 재계 인사가 참여할 것으로 관측됐다.
한편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은 해외 일정으로 불참했으며,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은 존 펠란 미 해군성 장관과 사업장 방문 일정으로 회동에 참석하지 못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등과의 면담 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별도 만남을 하지 않을 예정이다.
트럼프 주니어는 이날 저녁 모처에서 만찬을 가진 후 밤 늦게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미국으로 돌아갈 예정이다.

mky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