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기 없이도 보행자·사물 감지하는 미래 네트워크 비전 제시
스마트시티·자율주행 등 고부가가치 서비스로 확장 가능성 강조
AI·안테나·시스템 아키텍처 등 기술 기반 및 표준화 전략도 담아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LG유플러스가 통신망이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지능형 인프라로 진화할 수 있는 통신·센싱 융합 기술을 주제로 한 '2025년 6G 백서'를 발간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백서는 2023년 이후 매년 발간된 6G 백서의 후속판이다.
통신·센싱 융합(Integrated Sensing and Communication, ISAC)은 기존 통신 인프라를 센서처럼 활용해 스마트폰을 들고 있지 않은 보행자나 도로 위 장애물, 공장 설비의 진동 등 주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이다. 통신망이 단순한 데이터 송수신 역할을 넘어 주변을 '보고 느끼는' 센서로 확장되는 개념이다.
백서는 기존 레이더와 5G 기지국 안테나 구조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센싱 기능을 통신망에 통합하는 방식과 단일 위치, 이중 위치, 다중 위치 센싱 구조 등 다양한 기술 구조를 상세히 설명했다. 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기반 센싱 신호를 활용해 통신 품질 저하 없이 센싱 기능을 구현하는 최신 기술 동향도 다뤘다.

LG유플러스는 향후 통신 네트워크가 지능형 환경 인지와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플랫폼으로 진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스마트시티, 자율주행, XR 등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확장이 가능하며, 기존 인프라를 활용한 서비스형 센싱(Sensing-as-a-Service) 모델로 통신사의 신규 수익 창출도 기대된다는 설명이다.
백서에는 ISAC 활용 시나리오로 ▲센싱 기반 통신 최적화 ▲통신 기반 센싱 확장 ▲통신·센싱 융합 서비스 구현 등이 제시됐다. 도심 교차로 보행자를 10㎝ 이하 정밀도로 감지하거나, 스마트팩토리에서 사람과 로봇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해 디지털 트윈을 구현하는 사례도 포함됐다.
기술적 기반으로는 물리채널 설계, AI 기반 자원 최적화, 차세대 RF·안테나 기술, 센싱 전용 시스템 아키텍처, AI·머신러닝 기반 예측 기술 등이 소개됐다. 엣지 기반 분산 처리 구조는 ISAC의 실시간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핵심 기술로 강조됐다.
이혜진 LG유플러스 기술전략담당은 "ISAC는 6G 시대의 게임 체인저로, 통신 네트워크가 단순한 데이터 파이프를 넘어 세상을 감지하고 이해하는 지능형 인프라로 진화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이라며 "LG유플러스는 ISAC 기술 개발과 글로벌 표준화 활동으로 6G 시대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6G 백서는 LG유플러스 뉴스룸에서 확인할 수 있다.
dconnect@newspim.com



![[인터뷰] 이수용 지티원 대표 “AI 워크벤치, 기업의 신뢰 인프라로...AI 거버넌스 선도 모델로 키울 것”](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12/news-p.v1.20251112.f5760d244c854a6b82b36421b571ad10_P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