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 ①GE에어로, 관세 폭탄? 끄떡없다…선명한 실적 전망

2025-04-30

기업들 가이던스 철회·하향 속 유지 눈길

관세 예상비용 5억달러 제시, 가시성 우위

트럼프 상호관세 복원 시나리오까지 반영

관세 완충 수단, FTZ 활용과 가격결정력 등

이 기사는 4월 29일 오후 4시00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미국 항공기 엔진 제조회사 GE에어로스페이스(종목코드: GE)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야기한 '관세 불확실성' 속에서 실적 전망이 명료한 기업으로 꼽힌다. 관세 불확실성을 이유로 실적 전망을 유보하는 기업이 나오는 가운데 GE에어로는 이미 관련 비용을 확정하고 가이던스에 반영해 신뢰감을 줬다는 평가가 나온다. 월가의 이익 추정치는 되레 상향되고 있다.

1. 연간 가이던스 불변

GE에어로에 대한 월가의 주목도가 재차 높아진 것은 이달 22일 발표된 1분기 결산이 계기가 됐다. 1분기 매출액이 90억달러로 애널리스트 컨센서스 91억달러를 밑돌았지만 영업이익과 주당순이익이 각각 21억달러와 1.49달러로 기대치 19억달러, 1.27달러를 넘었다. 1년 전 회사가 GE버노바(작년 4월2일 분사)와 함께 있던 당시 담당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81억달러, 15억달러였다.

관련 결산 발표에서 애널리스트들의 이목을 끈 것은 가이던스다. 회사는 올해 연간 관세 비용을 5억달러로 상정하면서도 종전의 가이던스를 유지했다. 연간 매출 증가율을 '낮은 두 자릿수', 영업이익은 78억~82억달러, 주당순이익은 5.1~5.45달러, 잉여현금흐름은 63억~68억달러로 제시됐다. 작년 4분기분 결산 발표 때 제시된 2025년 연간 가이던스에서 변함이 없는 숫자다.

현재 미국 상장사 다수가 트럼프 행정부발 관세 불확실성을 이유로 가이던스를 철회하거나 하향 중인 가운데 GE에어로의 가이던스의 제시 및 유지는 주목할 만한 차별화 요소다. 나아가 관세 관련 예상비용까지 구체적인 숫자로 제시하면서도 가이던스를 유지했다는 사실을 통해 관세 역풍 속에서의 실적 안전성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줬다는 호평이 뒤따랐다.

2. "강경 시나리오까지 반영"

GE에어로가 제시한 연간 관세 비용 5억달러는 지난해 영업이익 73억달러의 7%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당한 규모로 평가된다. 그럼에도 가이던스가 유지될 수 있었던 것은 GE에어로가 관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여러 수단을 보유하고 있기 떄문이라는 분석이 뒤따른다. GE에어로의 래리 컬프 최고경영자(CEO)는 "비용 절감이나 가격 인상을 포함한 여러 조치를 통해 관리 중"이라고 했다.

GE에어로는 지난 46년 동안 무관세 혜택을 받아온 기업 중 하나다. 1979년 체결된 민간항공기협정(CAA) 덕분에 항공기·엔진·부품 등 항공우주 산업의 국제 교역에서 관세가 사실상 부과되지 않는 환경이 유지됐기 때문이다. 본질적으로 글로벌 공급망에 크게 의존하는 항공우주 산업의 특성을 고려해서다. 엔진 등의 제조에 필요한 부품 다수를 각국에서 조달하는 GE에어로는 무관세 덕분에 비용 최적화가 가능했다.

혜택을 본 것은 GE에어로뿐이 아니다. 덕분에 미국 항공우주 산업의 무역수지는 연간 750억달러 규모의 흑자를 지속할 수 있었다. 하지만 무역적자를 축소하려는 트럼프 행정부가 광범위한 관세를 도입하면서 45년 넘게 이어진 무관세 질서가 위협받고 있다. 컬프 CEO는 미국 관련 산업의 무역흑자를 트럼프 대통령과의 면담에서 전달했고 트럼프 대통령 역시 관련 흑자 논리의 사실을 인지했다고 한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처 중 현재 GE에어로에 타격이 되는 것은 세계 각국에 적용되는 10%의 보편관세, 알루미늄·강철 등 핵심 소재에 대한 별도 관세다. 10%의 보편관세에 얹어지는 상호관세는 7월 초순까지 임시적으로 유예된 상태다. GE에어로가 제시한 연간 5억달러 비용은 상호관세 유예 조치가 끝나고 다시 복원됐을 경우까지의 상황까지 고려한 숫자라고 한다. 행정부로부터 완화 조치가 나오면 관련 비용 전망도 축소될 수 있다.

3. 완충 수단I

상호관세 복원이라는 강경한 시나리오에서도 GE에어로가 관련 비용을 5억달러로 한정할 수 있다고 자신하는 것은 자유무역지대(FTZ)의 활용 등 다층적인 대응 수단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관련 수단은 GE에어로만 활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는 점에서 월가 애널리스트 사이에서 대응 수단이라는 표현으로 거론되고 있다.

FTZ는 미국에 설치된 특별 경제구역으로 이곳에서는 수입품이 미국 본토로 출하되기 전까지 관세 납부가 유예되거나 면제되는 혜택이 주어진다. GE에어로는 관련 특성을 활용해 해외에서 들여온 부품과 소재를 관세 없이 보관하고 가공할 수 있다. 완성된 항공엔진 등 부품이 해외로 재수출될 경우에는 미국의 관세가 부과되지 않아 관세 부담을 회피할 수 있다. GE에어로가 활용하는 주요 FTZ는 오하이오주와 켄터키주 앨라바마주 등에 있다.

현재 미국에서 FTZ를 활용하는 기업 3000여곳 중에서 GE에어로의 관련 지역 내 생산시설 비중은 큰 편이다. FTZ보드 보고서에 따르면 GE에어로는 허니웰에어로스페이스와 함꼐 미국 FTZ에서 가장 많은 물량을 취급하는 상위 10개 기업 중 2곳이다. 또 GE에어로는 연간 매출액의 과반(55%)이 해외에서 발생한다. FTZ 생산시설의 활용도를 높여 관세 역풍을 피해 갈 수 있는 위치에 놓여 있는 셈이다.

▶②편에서 계속

bernard0202@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