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한 미생물학자가 남은 피자에서 자라는 세균량을 비교한 실험 영상을 공개해 화제가 되고 있다.
최근 영국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미국 시카고에서 활동하는 미생물학자 니컬러스 아이처는 테이크아웃 피자를 구입한 직후와 하루가 지난 뒤 각각의 조각에서 샘플을 채취해 세균 증식 정도를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아이처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에 실험 과정을 담은 영상을 올렸다. 그는 치즈와 페퍼로니 피자를 면봉으로 문질러 샘플을 채취한 뒤 배양 접시에 옮겼고, 다음 날 남겨둔 동일한 종류의 피자 조각에서 같은 방식으로 다시 샘플을 얻어 비교했다.
배양 결과 신선한 치즈 피자에서는 세균이 거의 발견되지 않았으나 신선한 페퍼로니 피자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박테리아가 관찰됐다. 반면 하루가 지난 치즈 피자에서는 소량의 세균이 확인됐고 하루 지난 페퍼로니 조각에서는 신선한 치즈 피자보다 오히려 적은 양의 세균이 나왔다.
아이처는 “우리가 일상에서 크게 신경 쓰지 않는 음식 속 미생물의 존재를 재미있는 방식으로 보여주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결과에도 불구하고 영상 시청자들은 여전히 ‘피자 사랑’을 드러냈다. 한 이용자는 “그래도 먹을 거다”라고 적었고, 또 다른 이용자는 “페퍼로니는 소금기가 많아 세균이 자라기 어렵다”고 반응했다.
한편 아이처는 앞서 ‘5초 룰(떨어진 음식을 5초 안에 주워 먹으면 안전하다)’의 진위를 실험한 영상으로도 주목받은 바 있다. 당시 그는 음식이 바닥에 닿는 시간을 달리하며 세균 증식 정도를 관찰했고, “0초도 너무 길다”며 해당 속설을 일축했다.




![[금주의 키워드] 메롱바](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joongang_sunday/202511/15/3e8c057d-d11b-4200-961c-0dc7ad087bdf.jpg)

![[푸드&라이프] 캘리포니아 푸룬, GLP-1 다이어트의 강력한 동반자로 주목](https://www.foodnews.news/data/photos/20251146/art_17629160717337_1ced5e.png?iqs=0.54704099551620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