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茶)가 커피로 바뀌었습니다. 요즘 거리 풍경의 다반사(茶飯事)입니다. 손, 손 아메리카노가 들렸습니다. 커피의 유래는 6세기경 에티오피아 염소 치기 ‘칼디’ 설이 유력하지요. “천 번의 키스보다 달콤하고 악마보다 검고 지옥보다 뜨겁다”는 튀르키예 속담 때문인가요? 한번 맛을 들이면 아편처럼 끊기 어렵습니다. 검고 뜨거운 악마의 음료가 분명합니다. 바흐는 커피 좋아하는 딸을 위해 <커피 칸타타>를 지었지요. 루소는 “더 이상 커피잔을 들 수 없구나!” 임종게 아닌 임종게를 남겼고요. 에티오피아 사람들은 귀한 손님이 오면 커피 세리머니를 한답니다. 두세 시간, 원두를 볶고 찧고 끓여 석 잔을 대접한답니다. 옆구리에 두어 권 크고 두꺼운 책을 끼고 다방을 들락거리던 형들이 부러웠었지요.
“낙엽을 태우면 갓 볶아 낸 커피의 내음이 난다. 잘 익은 개암 냄새가 난다.” 이효석의 <낙엽을 태우면서>를 읽은 뒤로 자주 낙엽을 그러모았습니다. “커피 한 잔을 시켜놓고 그대 오기를 기다려봐도 웬일인지 오지를 않네 내 속을 태우는구려” 펄시스터즈의 <커피 한 잔>을 참 많이 들었던 성싶습니다. 다방 구석에 박혀, 저기 “다가오는 모든 발자국은/내 가슴에 쿵쿵거린다/……/너였다가/너였다가, 너일 것이었다가”, 황지우의 <너를 기다리는 동안>을 절로 외웠습니다. 어쩌죠, 오늘도 그만 커피가 다 식어버렸네요.
#커피 #안성덕 #시인 #풍경 #아메리카노
기고 gigo@jjan.kr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