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벼 전량 매입 추진…가루쌀 5만톤 포함
매입가격은 연말 확정, 중간정산금 즉시 지급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정부가 올해 공공비축 시행계획을 확정했다. 쌀 45만톤과 콩 6만톤을 매입하고, 친환경 벼 전환 농가의 희망 물량은 전량 공공비축미로 매입한다. 가루쌀 5만톤도 포함돼 수급안정과 고품질 쌀 생산 유도를 병행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일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2025년 공공비축 시행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기후변화나 천재지변으로 식량 부족 상황이 발생할 때를 대비해 공공비축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올해 비축 물량은 쌀 45만톤, 콩 6만톤으로 정해졌으며 향후 세부계획에 따라 매입을 진행할 예정이다.

쌀 매입가격은 수확기(10~12월) 평균 산지쌀값을 조곡(벼) 가격으로 환산해 연말에 확정한다. 매입 직후에는 농가에 포대(40㎏, 조곡 기준)당 4만원의 중간정산금을 지급한다.
특히 올해부터는 친환경벼 전환 농가가 희망할 경우 전량을 공공비축미로 매입한다. 지난해 친환경쌀에 일반벼보다 5%포인트(p) 높은 가격을 적용한 데 이어 매입 물량을 늘려 고품질 쌀 생산을 유도한다는 취지다.
올해 매입 규모는 지난해와 동일한 45만톤이다. 이중 가루쌀 매입계획량은 5만톤이다. 시군별 매입 물량은 지난 2월 이미 배정됐으며, 친환경쌀은 인증 시기 등을 반영해 추후 배정된다.
매입 품종은 다수확 품종을 제외하고, 각 시군에서 사전에 정한 2개 품종(삼광, 새청무, 일품 등)으로 제한된다. 지정 품종이 아닌 경우 공공비축미 출하할 수 없으며, 위반 농가는 다음 연산부터 5년간 공공비축 출하가 제한된다.
변상문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올해 매입한 공공비축미는 국내 수급 상황에 따라 군 급식, 가공용, 주정용, 식량원조용으로 활용할 계획"이라며 "국민에게 안정적인 식량 공급을 위해 공공비축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plu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