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10명 중 7명 “공공임대 살고 싶다”…‘내 집 마련’ 전 단계로 자리 잡은 청년 주거 대안
2030세대의 주거 트렌드가 달라지고 있다.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 안정적인 계약 구조, 정부 지원의 신뢰성 등을 이유로 공공임대주택을 ‘내 집 마련 이전의 현실적 디딤돌’로 인식하는 청년이 늘고 있다.

과거 ‘임대=불안정’의 공식이 무너지고, 공공임대가 새로운 주거 표준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청년 76% “공공임대주택 거주 의향 있다”…‘가격’이 최대 이유
3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산하 LH토지주택연구원(LHRI)이 발표한 ‘2030 청년 1인가구가 원하는 집은?’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의 만 19세~39세 무주택 청년 7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0명 중 7명(76.1%)이 공공임대주택에 거주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시세보다 저렴해서’(51.9%)가 가장 많았다. ‘쾌적한 환경’(14.1%), ‘정부·공공기관 신뢰’(8.2%) 순으로 뒤를 이었다.
청년층의 정책 인식도 긍정적이었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52.8%)이 “공공임대주택 정책을 잘 알고 있다”고 답했다. 이미지가 “긍정적”이라는 응답도 50.2%에 달했다.
이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응답자의 80%는 공공임대주택의 지속적 공급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집값 부담 커서”…공공임대, 청년 주거의 ‘안정판’
전문가들은 이번 결과를 “청년층이 단순히 값싼 주거지를 찾는 수준을 넘어 안정적인 주거 기반을 절실히 원한다는 신호”로 해석한다.
한 주거정책 전문가는 “이번 조사 결과는 청년층이 ‘안정된 삶의 기반’을 얼마나 중요하게 여기는지 보여준다”며 “공공임대가 일시적 대안이 아닌, 자립을 준비하는 청년의 사회적 안전망으로 작동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청년의 공공임대 선호는 시장가격의 부담이 구조적으로 커졌다는 반증”이라며 “전세 불안, 금리 상승, 원룸 임대료 인상 등이 겹치면서 공공임대의 가격 안정성이 매력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단기 수요 대응뿐 아니라 공급 구조 개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현재 청년 1인가구의 주요 거주 유형은 다세대주택(38.1%)과 오피스텔(27.1%)이었다. 공공임대주택으로는 아파트(52.6%) 선호가 가장 높았다.
전세(43.6%)를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선호 면적은 41㎡ 이상(48.3%), 방 개수는 2개(53.7%)가 이상적인 조건으로 꼽혔다.
◆“임대, 부끄럽지 않다”…인식 바뀐 2030의 ‘新 주거문화’
이번 조사에서는 청년층이 공공임대를 ‘내 집 마련 전 단계’로 인식한다는 점도 눈길을 끈다.
과거 ‘임대주택은 가난한 사람의 집’이라는 편견이 옅어지고, “합리적 선택”으로 보는 인식 전환이 일어나고 있다.
2030세대는 공공임대를 합리적 ‘주거 전략’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주거문화가 소유 중심에서 ‘안정’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청년세대는 소유보다 삶의 안정과 유연성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공공임대가 단순한 ‘집’이 아닌 자산 형성과 사회 진입의 발판이 되도록 금융·복지·교육정책과 연계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도 나왔다.
◆“입지·품질 경쟁력 높여야”…정책 과제는 ‘여전’
청년층의 공공임대 선호도가 높아진 것은 분명 고무적이지만, 전문가들은 “이 현상을 정책 성과로만 해석하기는 이르다”고 지적한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공공임대 선호가 높아진 것은 민간시장의 주거 선택지가 줄었다는 구조적 문제의 반영”이라며 “근본적으로 청년 소득 격차 해소와 임대료 안정이 함께 추진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청년층의 높은 관심은 정부의 청년주거 정책이 올바른 방향임을 보여준다.
향후 입지·품질·공간 구성에서 민간주택과의 격차를 줄여 ‘선택받는 공공임대’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게 중론이다.
◆전문가들 “청년이 원하는 건 집이 아닌 ‘삶의 기반’”
이번 조사 결과는 청년세대가 ‘소유’보다 ‘안정’을, ‘공간’보다 ‘삶의 기반’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청년이 원하는 것은 단순한 주거공간이 아닌 삶의 기반이다. 공공임대주택이 일자리 접근성, 커뮤니티, 생활 편의시설과 결합될 때 진정한 청년 주거정책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데이터를 향후 청년 맞춤형 임대정책 설계의 중요한 기초자료로 보고 있다.
응답자 10명 중 8명가량(76%)이 공공임대 거주 의향을 밝히고, 절반 이상이 가격 요인을 최우선으로 꼽았다.
이는 주거비 부담이 청년층의 가장 큰 경제적 리스크임을 보여주는 데이터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단독]아파트 공시가율 내년도 안 올린다](https://newsimg.sedaily.com/2025/11/03/2H0B8GS8XG_2.jpg)

!["아파트 대신할 똘똘한 한 채"…대출 조이자 꼬마빌딩 꿈틀[집슐랭]](https://newsimg.sedaily.com/2025/11/03/2H0B7UEPZW_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