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란봉투법 후폭풍…네이버 노조 “진짜 사장도 책임 교섭 나서라” 압박

2025-08-27

이른바 ‘노란봉투법’이라고 불리는 노동조합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한 이후 네이버를 겨냥한 산하 회사 근로자들의 처우 개선 압박이 거세지고 있다. 네이버 노조는 이달 들어서만 2차례의 집회를 연이어 개최하며 사실상 네이버가 자회사 근로자들과의 임금 및 단체교섭에 직접 나설 것을 촉구하고 있다.

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 네이버지회는 27일(현지 시간) 경기도 성남 네이버 본사 앞에서 올해 임단협이 결렬된 6개 법인 조합원들과 함께 2차 집회를 열었다. 이날 단체 행동에 참여한 그린웹서비스와 스튜디오리코, 엔아이티서비스, 엔테크서비스, 인컴즈, 컴파트너스 등 6개 네이버 손자회사는 검색이나 IT 인프라, 고객센터, 콘텐츠 제작 등 네이버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주요 업무를 담당한다. 네이버지회에는 이들 손자회사들의 노조가 포함돼 있다. 이들은 이날 집회에서 “임금수준의 차이는 차치하더라도 임금 인상률이라도 모회사 수준에 맞춰달라”, “명절 선물 등 복지에 있어 모회사와의 지나친 격차를 해소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날 집회는 지난 11일 1차 집회 후 2주 만에 열린 집회이자 지난 24일 국회에서 노란봉투법이 통과된 이후 첫 집회다. 노란봉투법은 노조와의 협상 의무가 있는 사용자의 범위를 실질적 영향을 미치는 원청기업이나 모회사로 확대했다. 이에 이날 집회에서는 모회사의 네이버의 책임을 묻는 목소리가 연이어 나왔다. 오세윤 네이버지회장은 “노란봉투법으로 세상이 바뀌고 있고, 모기업인 네이버와 네이버웹툰은 계열사의 임금과 복지, 인력 운용에 실질적인 지배력을 행사해온 현실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라며 “네이버가 사용자로서 책임 있게 교섭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네이버지회는 노란봉투법이 의결을 거쳐 공포 6개월 후 시행되지만 지금부터 네이버 본사가 손자회사들의 임단협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며 모회사를 정조준했다.

업계에서는 노란봉투법이 네이버를 넘어 IT업계 전반의 노조 강성화 흐름을 가속화 수 있다고 보고 있다. IT업계 노조는 몇 년 전만 하더라도 단체 영화관람 형태로 집회를 진행할 정도로 온건하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최근에는 넥슨의 자회사 네오플 노동조합이 무기한 파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지난달 23일에는 한컴 노조도 부분파업에 돌입하기도 했다. 당시 카카오지회와 넥슨지회가 한컴 노조에 투쟁기금을 전달하기도 했다.

IT업계 사측도 이같은 노조 움직임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앞서 카카오의 11개 계열사 중 마지막까지 임단협에 실패하며 노사 갈등을 빚어왔던 카카오VX는 최근 협상 타결을 이뤘다. 그동안 카카오VX 사측은 매각 등 중요한 이슈가 해결되기 전까지는 임금 올려줄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카카오VX 노사가 극적 합의를 이룬 배경을 두고 업계에서는 노란봉투법이 적잖은 영향 미쳤을 것으로 보고 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