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자급화를 위해 품질인증 체계 구축과 수요기업 인센티브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주요 국가들이 의약품 원부자재를 국가 안보 차원에서 다루면서 집중 육성하고 있는 만큼 우리 정부도 보다 적극적인 지원과 육성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최정민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이사는 최근 협회가 개최한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상용화 지원사업 성과 공유회’에서 "한국의 원부자재 산업 경쟁력은 민간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분명하다”며 “정부의 전략적 지원이 투입될 때 공급망 안정화도 강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바이오 원부자재는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 생산공정에 사용되는 소재·부속·기기·재료 등으로 미국 써모피셔·싸이티바, 독일 머크·싸토리우스 등 상위 5개 기업이 전체 세계 시장의 75% 이상을 장악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9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 사업의 일환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를 전량 수입 의존하겠다”고 응답한 비율이 43%에 달했을 정도로 해외 의존도가 높다.

전문가들은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국산화율을 높이려면 품질·성능 데이터를 보강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수립하고, 수요기업에게는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조현수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팀장은 “기업들이 외국 제품을 선호하는 이유는 국제규격 인증과 품질·성능 데이터에 대한 높은 신뢰도 때문”이라며 “국산 사용을 확대하려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원료물질 제조소 품질인증(GMP) 시범사업과 연계성을 가진 품질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최순우 GC녹십자 팀장은 “정부가 나서 품질 보증을 해준 덕에 국산 원부자재 도입이 수월했다”면서도 “사용하던 제품을 교체하면 기업 내부적으로 품질 평가를 다시 해야 해 비용이 발생하는 만큼 세제 감면 등 수요기업에 대한 지원도 병행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상용화 지원사업은 백신 등에 필요한 핵심 원부자재의 국산화를 도모하기 위한 사업이다. 산업통상자원부(현 산업통상부) 지원으로 4년간 진행됐으며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이 주관해 인천광역시, 인천테크노파크, 인하대학교,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가 각각 제품 성능 인증·제작·판로 지원을 맡았다. 성혜진 제약산업전략연구원 부원장은 “사업에 참여한 쓰리디멤이 글로벌 기업 싸이타바 등과 비밀유지계약을 체결했고, 바이온팩을 비롯해 한일화학고무공업 등이 국내 대기업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 등에 납품하는 성과를 거뒀다"며 “이외에도 다수의 원부자재 기업이 글로벌 수준에 부합하는 제품 생산에 성공해 국가 지원이 성과로 이어지는 걸 확인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ET톡] 제조업 AI 전환, 이제 시작이다](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4/07/25/news-p.v1.20240725.d8c58344d169433f95bf5df4f5153443_P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