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홍수·가뭄·산불 등 각종 자연재난과 대형 사회재난 예방·대응에 인공지능(AI)·드론 등 스마트기술을 적극 접목한다.
인력 위주 대응에 한계를 절감, AI·데이터 기술 등을 활용해 재해·재난 상황에 최적화한 대응책을 지원·마련할 방침이다.
정부는 최근 발표한 국정과제 중 하나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재난 피해 최소화를 위한 예방·대응 강화'를 담았다.
이를 주도하는 행정안전부는 이번 과제를 통해 △재난 대응체계 강화 △재난 모니터링 강화 △긴급구조 역량 강화 △재난피해 지원확대 △홍수·가뭄 예방대책 마련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들 내용 상당수에 AI 등 신기술 접목이 강화된다.
'AI 기반 지능형 관제(CCTV) 고도화'가 대표적이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2023년 이태원 참사 이후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고 있는 모든 CCTV를 지능형 CCTV로 교체한다는 지침을 발표한 바 있다. 앞으로 지능형 CCTV 보급이 급속도로 늘 것으로 예상되지만 기존 인력 관제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게 행안부측 판단이다.
행안부는 수백·수천대에 달하는 CCTV를 일일이 육안으로 확인하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AI를 접목한 관제 고도화를 추진한다. 이를 전국 지자체 등에 배포해 현장에서 활용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AI 기반 119 시스템'도 AI를 통해 인력 한계를 극복하자는 취지에서 기획됐다. 소방청이 진행하는 이 사업은 119 신고가 순간 급증할 시 AI가 이를 분류·처리해 대응 속도를 높이는 시스템 개발에 초점을 뒀다.
재난·재해 상황에 특화한 데이터와 알고리즘 개발도 타진한다.
현행 지능형 CCTV 단점으로 지적되는 것 중 하나가 정확도가 떨어진다는 점이다. 이는 재난·재해 등 특수 상황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재난·재해 등 특수상황 영상 데이터는 지자체에서 개별 보유하고 있어 개방·공유가 쉽지 않았다. 지자체가 보유한 이들 영상을 취합·개방해 민간 CCTV AI 성능을 높이는데 적극 활용하도록 지원한다는 게 행안부 정책 방향이다.
알고리즘 역시 재난·재해 등 특수 상황 관련 알고리즘은 수요자가 공공 등에 국한돼 민간 기업 중 개발하는 곳이 드물다. 수요는 적지만 삶에 중요한 분야 알고리즘의 경우 행안부가 이를 직접 개발해 지자체·기업 등에 공유한다는 계획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드론 등 각종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통합·연계해 인력만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산불 등 각종 재해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도록 할 것”이라며 “AI 역시 중요 데이터 적극 개방·공유 등을 통해 AI 성능을 높이는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