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포 실패, 왜 숨기나”…부산시 백서·연구자료 줄줄이 비공개

2025-11-21

2030 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 실패 이후 부산시의 불투명한 후속 대응을 둘러싼 논란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반선호(비례대표·사진) 부산시의회 기획재경위원회 의원은 21일 열린 제332회 정례회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부산시가 유치 실패를 둘러싼 책임을 회피하고 핵심 자료를 비공개로 묶어 두고 있다고 강하게 질타했다.

반 의원은 “119대 29라는 참혹한 결과를 마주한 그날 이후, 부산시는 무엇을 배웠고 무엇을 고쳤는지 시민에게 단 한 번도 설명하지 않았다”며 “반성 없는 구호는 책임을 회피하는 말일 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핵심 쟁점은 부산시가 작성한 ‘2030 엑스포 백서’의 비공개 문제다. 백서는 지난해 1월 계획안이 발표된 뒤 12월 최종보고회까지 진행됐지만, 용역 기간이 네 차례 변경되고 발간등록번호가 두 차례 취소되는 등 우여곡절만 반복됐다. 1억6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1년 8개월이 흐른 지금까지 공개 여부조차 확정되지 않은 상황이다.

반 의원은 “부산시는 백서가 완성됐는지, 언제 공개할 것인지조차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며 “혹시 퐁피두 미술관 건립 당시처럼 시민이 알게 될까 두려워 숨겨 놓은 것은 아니냐”고 꼬집었다.

비공개 논란은 부산연구원이 작성한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활동의 성과와 한계’ 현안연구로도 확산되고 있다. 해당 연구는 부산시의 공문 요청으로 비공개로 전환됐으며, 연구조정심의위원회가 비공개를 결정했지만 기준·근거·범위가 모두 불명확해 ‘감추기 위한 절차’라는 의혹만 커졌다는 지적이다.

반 의원은 “엑스포 관련 핵심 연구자료를 모두 어둠 속에 밀어 넣는 행정은 도시의 미래를 책임지는 자세가 아니다”라며 “조만간 공개될 백서가 실패 분석은 빠지고 보도자료·사진 중심 홍보물로 전락할까 우려된다”고 비판했다. 그는 유치예산 분석 부재, 구·군 특별교부세 및 공공기관 집행예산 누락, 과정 평가 없는 치적 중심 구성, 언론에 이미 공개된 내용의 반복 등의 구성이 담길까 우려를 표했다.

최근 부산시가 재추진 의사를 내비친 ‘2040 엑스포’에 대해서도 반 의원은 강한 우려를 표했다. 그는 “시민의 시간과 세금은 무한하지 않다”며 “백서 한 장, 분석 한 줄도 공개하지 않은 상태에서 재도전을 운운하는 것은 명백한 시민 기만”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최근 발표된 ‘재도전 찬성 60%’ 여론조사에 대해 “이 수치를 재도전 자체에 대한 백지지지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며 “시민들은 제대로 평가하고 고쳐서 다시 도전하라는 뜻을 보낸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 의원은 부산시에 백서 제작 과정·분석 결과 전면 공개, 비공개 문서 기준·범위·시기 명확화, 언론·시민 질문에 대한 책임 있는 답변, 재도전 추진 배경 및 향후 계획 공개 등을 공식 요구했다.

그는 “부산시는 제기된 의혹에 대한 명확한 답을 내놓아야 하며, 이는 부산시민들에 대한 예의이자 국제사회에서 신뢰를 얻기 위한 첫 걸음”이라며 “실패해도 괜찮지만, 실패를 숨기고 다시 도전하는 태도는 결코 괜찮지 않다”며 발언을 마무리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