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환경장관, 취임식 대신 수해복구 현장 점검…“기후대응 총괄, 막중한 사명감”

2025-07-22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22일 이재명 정부 첫 기후·환경 정책 수장으로 취임했다. 김 장관은 취임식을 생략하고 수해복구 현장을 점검했다. 기후위기 시대를 맞아 탈탄소 사회 전환에 속도를 내는 동시에 빈틈없는 기후재난 안전망을 구축해 기후대응 컨트롤 타워 역할에 전념한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김 장관은 이날 오후 취임 첫 행보로 국가하천인 충남 예산군 삽교천 제방유실 피해 현장을 찾아 복구상황을 점검했다. 아직 홍수기가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취임식 없이 국무회의 종료 후 곧 바로 수해 현장을 찾았다.

삽교천 일대는 지난 16일부터 17일까지 짧은 기간 동안 421㎜(시간 당 최대 82㎜)의 많은 비가 내렸으며 불어난 물로 인해 약해진 제방 2곳이 유실되고, 이로 인해 농경지 740㏊, 가옥 82동, 비닐하우스 102동이 침수되는 피해(잠정 집계)를 입었다.

환경부 소속 금강유역환경청과 예산군은 삽교천 제방 유실이 발생한 2곳 중 삽다리교 인근 제방은 응급 복구를 완료했다. 구만교 인근 제방은 아직 응급 복구를 진행 중이다.

김 장관은 이날 수해복구 현장을 찾아 기후위기 시대, 극한 호우에 대비한 예측 능력 강화와 취약한 하천 인프라 보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기상예보와 홍수예보를 촘촘하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AI) 기술을 융합해 정밀한 예측시스템을 구축하고, 기상청·지자체 등 유관 기관 간 관측망을 확충하고 공동 활용해 감시 공백을 최소화할 것을 지시했다.

또한, 취약한 홍수방지 기반시설을 보강할 수 있도록 노후 제방 등 하천시설에 대한 보강계획을 즉시 수립할 것을 강조했다. 특히, 이번 호우가 본류가 아니라 지류지천에서 주로 피해가 발생한 만큼, 지류·지천 구간에 대한 집중 정비 필요성도 언급했다.

김 장관은 “기후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것이 국가의 최우선적인 역할”이라며, “매년 반복되는 극한 호우에 대비해 빈틈없는 홍수 대응체계를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수해현장 방문에 앞서 “탈탄소 녹색 문명의 중심 국가로 도약하는데 선도적 역할을 하겠다”는 다짐을 전하며 핵심 국정과제로 '기후대응'과 함께 '탄소감축'을 재차 강조했다.

김 장관은 “기후위기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고 국제경제 질서가 탄소중립을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면서 “중차대한 시점에 기후대응을 총괄하는 환경부 장관직을 맡아 막중한 책임감과 사명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어 “화석연료 기반의 탄소 문명에서 벗어나 재생에너지 중심의 탈탄소 녹색 문명으로의 대전환이 매우 절박하다”면서 “태양광, 풍력, 바이오가스 등 지역 특성에 맞는 재생에너지를 대폭 확대하고 이익을 지역주민과 공유하면 지역 활력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