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드세요" 로봇이 알려준다…고령자 돌봄 '실버테크' 시장 급성장

2025-05-03

초고령사회 고령자 돌봄에 초점을 맞춘 실버테크(silver tech)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삼성전자·LG전자 등 대기업들도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돌봄 로봇 출시를 잇달아 예고하고 있다.

2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연내 AI 로봇 ‘볼리(Ballie)’를 출시할 계획이다. 공 모양의 외형에 바퀴가 달린 볼리는 집안 곳곳을 자율주행으로 돌아다닐 수 있다. 별도 리모컨이 필요 없이 음성인식으로 조작할 수 있는 만큼 디지털 기기에 낯선 고령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삼성은 최근 볼리에 구글의 생성형 AI ‘제미나이(Gemini)’를 탑재할 계획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LG전자도 올해 안에 AI 로봇 ‘Q9’을 공개할 예정이다. Q9은 볼리와 달리 두 다리에 바퀴가 달린 형태로 이동한다. 또 화면을 통해 표정을 표현할 수 있어 사용자와의 정서적 교감을 강화했다. LG전자는 거대언어모델(LLM) 기반 생성형 AI에 고객별 생활 패턴 데이터를 결합한 소프트웨어 ‘퓨론’을 탑재해 사용자와 자연스러운 소통이 가능하도록 설계하고 있다.

중소·중견기업을 중심으로 고령자 돌봄에 더욱 초점을 맞춘 로봇도 상용화되고 있다. 효돌에서 개발한 AI 로봇 ‘효돌’은 고령자에게 친숙함을 주기 위해 인형 형태로 제작됐다. 자율주행 기능은 없지만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고령자와 말벗이 되어줄 수 있고, 위급 상황 발생 시 가정 내 시스템과 연동해 신속하게 긴급 구조를 요청할 수도 있다. 현재 화성·용인·청주·해남 등 전국 각 지자체에선 이미 효돌을 독거노인에게 적극적으로 보급하고 있다.

중소기업부터 대기업까지 너나 할 것 없이 돌봄 로봇 시장에 뛰어드는 것은 한국의 인구구조 변화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고령자 수를 의미하는 노년부양비는 2022년 25.2명에서 2042년 67명으로 2배 이상 급증할 전망이다. 반면 돌봄서비스 인력은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돌봄서비스 인력난 및 비용 부담 완화 방안’ 보고서를 통해 돌봄서비스직 노동 공급 부족 규모가 2022년 19만명에서 2042년 최대 155만명까지 확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정부도 스마트 홈케어, AI 돌봄 로봇 등 기술을 활용해 돌봄 수요를 관리하겠다는 방침이다.

해외에서도 돌봄 로봇은 공공복지 영역으로 자리 잡고 있다. 미국 뉴욕주 고령화청(NYSOFA)은 돌봄 로봇 ‘엘리큐’를 800대 이상 구입해 독거노인 가구에 배포했다. 사용자와의 대화 기능뿐만 아니라 약 복용 알림, 가족과의 전화 연결 등 일상적인 지원을 통해 가족의 걱정을 덜어주기 위한 취지다. 강아지·고양이 등 반려동물 형태의 로봇을 독거노인과 치매 환자에게 제공되기도 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리서치앤마켓에 따르면 돌봄 로봇 시장은 2023년 114만4000만 달러에서 2030년 566억9000만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측했다.

다만 돌봄 로봇의 걸림돌은 ‘가격’이다. 대표적으로 삼성전자 볼리의 출고가는 수백만원대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로선 일반 독거노인이 활용하기엔 부담이 크다. 국민건강보험연구원이 장기요양기관 시설장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75.7%가 ‘돌봄 로봇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고 답했지만, 실제 도입한 비율은 3.9%에 그쳤다. 가장 큰 이유는 역시 ‘비용 부담(86.4%)’이었다. 업계 관계자는 “돌봄 로봇 기술이 실사용자에게 도달하려면 공공 지원도 병행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