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태 출마 예정자 '노무현 직함' 사용 두고 공방 격화
[광주=뉴스핌] 박진형 기자 = 내년 광주시교육감 선거를 앞두고 진행된 여론조사에서 특정 후보의 직함 사용을 둘러싸고 공정성 논란이 불거지며 다른 입지자들과 현직 교육감까지 반발하고 나섰다.
김용태 출마 예정자가 자신의 경력에 '노무현재단 광주시민학교장' 직함을 사용하자, 다른 입지자들이 "교육의 정치화"라며 강하게 반발해 조사를 보이콧했다.

여기에 이정선 광주시교육감도 가세하며 여론조사에 불참을 예고했다.
이 교육감은 6일 입장문을 통해 "특정 후보가 '노무현 시민학교장'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것은 정치적 상징을 끌어다 쓰는 행위로, 교육을 정치화하고 여론을 왜곡하는 심각한 문제"라며 "교육의 정치화를 단호히 거부하며 불공정한 여론조사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출마 예정자 전체가 아닌 특정인 2명만을 대상으로 진행된 여론조사는 다양성을 왜곡하고 시민의 판단을 제한하는 불공정한 방식"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지난 4일, 오경미 전 광주시교육청 교육국장과 정성홍 전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광주지부장 역시 성명을 내고 "전직 대통령 이름을 경력에 포함해 여론조사에 활용하는 것은 교육을 정치화하고 선거의 공정성을 훼손한다"고 비판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김용태 전 전교조 광주지부장은 "노무현재단 광주지역위원회 시민학교장 경력은 제 삶이 축적된 결과이자 당당히 내세울 수 있는 정당한 경력"이라며 "공직선거법상 문제될 것이 없다"고 반박했다.
그는 "후보 경력은 유권자가 평가할 중요한 항목이며 이를 문제 삼아 여론조사를 압박하는 것은 시민의 알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광주교육은 인사 비리, 청렴도 하락, 열악한 재정과 교원 부족 등으로 대대적인 변화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개인의 권력욕이 아니라 시민사회의 요구에 부응해 교육 대의를 실현하겠다"고 강조했다.
bless4y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