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머니
📈강남규가 만난 해외 전문가
‘양적완화(QE)의 아버지’
리하르트 베르너 영국 윈체스터대 교수는 독일에서 태어난 이코노미스트입니다. 일본 경제가 거품 붕괴 와중인 1995년 일본은행(BOJ)을 거쳐 증권사인 자딘플레이밍(도쿄)의 수석 이코노미스트로 일하고 있었습니다.

베르너 교수는 “95년 니혼게이자이신문에 쓴 칼럼에서 막 시작된 디플레이션의 대책으로 ‘료테키긴유간와(量的金融緩和·양적금융완화)’를 제안했다”고 말했다. 이는 양적완화란 개념이 등장한 계기입니다.
그리고 30년이 흘렀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제롬 파월 의장이 2025년 12월 1일부터 양적긴축(QT)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중앙은행이 돈의 양(Q, quantity)을 조절하는 시대가 저물고 다시 돈의 가격(P, 기준금리)을 움직이는 시대로 돌아가는 모양새입니다.
글로벌 머니가 QE 아버지를 화상으로 인터뷰해 돈의 양을 조절한 30년을 재평가했습니다. 세 차례에 걸쳐 그의 진단과 평가, 전망 등을 소개합니다.
1. Q의 시대가 끝난다!
2. 인플레이션 재발, QE 탓인가.
3. 중앙은행 앞날과 통화정책
영미권 이코노미스트들이 인플레이션에 대해 인터뷰할 때 쓰는 상투적인 표현이 있다. 바로 ‘인플레이션이 추한 얼굴을 들고 있다(Inflation Rears its Ugly Head)’는 말이다.
애초 이 표현은 영국 런던의 금융 중심지인 더 시티(The City)나 미국 뉴욕의 월가 사람들, 달리 말해 돈을 빌려주는 사람들의 것이었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80년대 초 사이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인플레이션)을 계기로 대중의 언어가 됐다”고 미 금융 역사가인 존 스틸 고든이 몇해 전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이런 인플레이션이 1980년 이후 40여 년 만에 다시 고개를 들었다. 원인에 대한 논쟁은 현재진행형이다. 글로벌 공급망 위기, 임금 상승, 기업이 이윤을 확보하기 위한 판매 가격 인상 등이 요인으로 지목된다.
그래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고(故) 밀턴 프리드먼의 영향인지, 주요국 중앙은행이 양적완화(QE)로 풀어놓은 돈이 화근이라는 주장이 대세로 받아들여진다. 정작 QE 아버지는 무슨 생각을 할까.



![[뉴욕 주간 프리뷰] 힘 빠진 채 안개 속으로 ②정크시장 균열?](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배당소득 분리과세 25%에 KB금융 시총 50조 첫 돌파 [줍줍 리포트]](https://newsimg.sedaily.com/2025/11/10/2H0EF99VGX_1.jpg)

![[ET시선] 생산적금융 시대, 은행의 미래는 디지털에 달렸다](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3/12/13/news-p.v1.20231213.3dd37b71e82a4e8f90ecfc5a338e8812_P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