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로보택시 '원톱' 웨이모 ② 미래 모빌리티 주도 '알파벳 사라'

2025-10-29

웨이모 로보택시 강점은

런던 진출 소식에 알파벳 'UP'

비즈니스 확장성 높아

이 기사는 10월 29일 오후 2시36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2009년 출범한 웨이모는 자율주행 로보택시 분야에서 기술적 완성도와 운행 데이터, 안전성 측면에서 선두를 달리는 업체로 평가 받는다.

주요국 로보택시 시장은 2020년대 중반 실험 단계에서 2030년대 중반 대중 교통의 한 축으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중장기 고성장이 예고된 만큼 월가의 관심도 뜨겁다. 스마트머니는 기술 개발을 주도하는 한편 시장을 선점할 업체에 '입질'에 뛰어드는 모양새다.

주요 외신과 투자은행(IB)은 웨이모가 무엇보다 기술적인 측면에서 업계 최상위에 해당한다고 입을 모은다. 웨이모 드라이버(Waymo Driver) 시스템은 라이다(LiDAR)와 레이더, 카메라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다중 센서 융합(multi-sensor fusion)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보도에 따르면 업체는 20억마일 이상의 시뮬레이션 주행과 2000만마일 이상의 실제 주행 데이터를 축적했고, 실시간 AI 판단 및 예측 정확도에서도 업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했다는 평가다.

웨이모 드라이버 시스템은 감지(perception)와 예측(prediction), 판단(planning) 등 3단계 AI 구조를 통해 수백 개의 객체 움직임을 동시에 인식, 예측하고 사고 재현율은 인간 운전자에 비해 현격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테슬라(TSLA)의 센서는 카메라만으로 구성됐고, 중국 바이두의 경우 라이다 중심이다. 3중 구조를 취한 것은 웨이모가 유일하다.

자율 주행 등급도 웨이모가 앞선다. 완전 자율 등급에 해당하는 SAE 레벨 4에 해당하며 상용 운행이 가능한 단계다. 반면 테슬라 로보택시는 FSD 베타 버전, 즉 레벨 2.5에 해당하고, 바이두가 레벨 4인데 중국 내 허가 구역에서만 운행한다.

지도 방식도 웨이모의 시스템이 두각을 나타낸다는 평가다. 고정밀 지도(HD map) 기반으로 정밀 좌표를 채택하기 때문. 바이두 역시 같은 시스템을 이용한다. 반면 테슬라는 지도를 사용하지 않은 채 실시간 학습하는 시스템이다.

주행 데이터도 웨이모가 압도적으로 앞선다. 실제 도로에서 1억마일 운행 기록을 축적했고, 시뮬레이션으로는 200억마일의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바이두가 약 5000만km의 주행 데이터를 확보했고, 테슬라 로보택시의 경우 테스트 단계에 머무는 실정이다.

시장 문가들은 웨이모 로보택시가 기술적으로나 데이터 축적 규모 등에서 앞서지만 비용과 인프라 부담이 크다고 지적한다. 테슬라의 경우 안전성 논란이 끊이지 않고, 실제 인명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월가가 웨이모에 커다란 기대를 거는 이유는 비즈니스 구조의 확장성 때문이다. 업체는 2024년 이후 우버와 제휴를 체결하고 오스틴-애틀란타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중이다. 우버 앱에서 웨이모 차량을 호출할 수 있도록 한 것.

2026년 런던을 시작으로 유럽 시장에서도 비즈니스를 본격화할 움직임이고, 비즈니스 측면에서 단순 차량 판매가 아닌 로보택시 서비스와 물류 운송, 지도 플랫폼까지 확장 가능한 구조라는 데 월가는 커다란 의미를 둔다.

향후 알파벳의 AI 기술과 지도, 클라우드 생태계와 결합할 경우 강력한 자율주행 자산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다.

업체는 이미 로보택시 기술을 이용해 수익을 내고 있다. 미국 IT 전문 매체 더 버지에 따르면 음식료 배송 업체 도어대시(DASH)가 조만간 자율주행 웨이모 차량을 통해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두 업체는 10월 초 파트너십을 체결했고, 웨이모의 운전자 없는 재규어 SUV가 도어대시 배달 차량에 합류하게 된다.

시장 전문가들은 배달 업체들이 인건비를 포함한 비용을 줄이기 위해 자율주행 배달 기술 플랫폼 도입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한다.

도어대시를 포함한 관련 업체들이 로봇 도입에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웨이모의 자율주행 차량은 전혀 다른 차원의 로봇이다. 인도가 아니라 도로에서 운행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보도 로봇보다 더 빠르게 음식을 배달할 수 있다.

웨이모는 지난해 우버 잇츠와 협력해 음식 배달 서비스를 제공한 바 있다. 해당 파트너십은 이미 종료됐다.

앞서 웨이모는 자체적인 배달 사업을 타진하기도 했다. UPS와 웨이페어, JB 헌트, 우버 등과 합작해 자율주행 기술을 소위 라스트마일 배송과 장거리 운송에 적용하려고 했지만 업체는 결국 배달 사업에 브레이크를 걸었고, 로보택시에 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지난달 웨이모는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 '웨이모 포 비즈니스(Waymo for Business)'를 출시하는 등 로보택시 기술을 이용한 사업을 확대하고 수익성을 강화하는 데 공격적으로 나서는 모습이다.

웨이모 포 비즈니스는 특정 기업이나 기관을 위해 설계된 자율주행 로보택시 호출 서비스로, 직원들의 출퇴근과 행사 참가자들의 이동 등 기업 차원의 교통 수요를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둔다.

요금은 일반 웨이모 서비스와 동일하고, 기업이 탑승 요금을 보조하거나 할인 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웨이모 포 비즈니스는 샌프란시스코와 로스앤젤레스, 피닉스 등 대도시에서 시범 운영되고 있다.

웨이모는 비상장 기업이기 때문에 개인 투자자들로서는 직접적인 투자가 쉽지 않고, 알파벳 주가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이다.

하지만 최근 런던 시장 진출 소식이 전해졌을 때 알파벳 주가가 2% 이상 오르는 등 웨이모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움직임이다.

알파벳 주가는 10월28일(현지시각) 267.47달러에 거래를 종료, 연초 이후 41% 상승했다. 최근 1년과 5년 누적 수익률은 각각 60%와 231%로 파악됐다.

투자은행(IB) 업계는 앞으로 5년간 알파벳이 최소 15%의 이익 성장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한다. 2026년 예상 실적을 기준으로 한 알파벳의 주가수익률(PER)은 26배. M7(Magnificent 7)으로 통하는 빅테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평가됐다는 얘기다.

시장 조사 업체 팁 랭크스에 따르면 36개 투자은행(IB)이 제시한 12개월 목표주가는 267.53달러로 나타났고, 최고치는 300달러에 이른다. 이들 IB 가운데 '매수' 투자 의견이 28건으로 확인됐고, '보유'와 '매도' 의견은 각각 8건과 0건으로 나타났다.

shhwang@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