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드론 사업의 해외 의존도가 높습니다. 드론 산업을 이끌 컨트롤타워를 세워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마지막 기회입니다.”
방효충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15일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IT리더스포럼 7월 정기조찬회'에서 '드론산업 현황과 전망 정책 과제 방향'을 주제로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방 교수는 드론 활용처 중 국방 분야에서 투자를 역설했다. 중국 DJI가 민간 드론 시장에서 80% 이상을 차지하는만큼, 경쟁이 치열한 민간 드론 시장보다 군용 드론 시장에서 성장을 모색하는 게 효율적이라는 판단이다.
방 교수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일어난 드론 침투·공격에서 알 수 있듯 드론이 국방과 안보 분야에서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터키는 정찰 감시 드론, 군집 드론 등 방어용 드론 분야에서 뛰어나고 이스라엘과 미국 등은 특정 표적을 요격하는 용도로 만드는 '타깃 드론'을 많이 갖고 있는 데, 한국은 타깃 드론을 전량 수입한다”며 “글로벌 드론 시장에서 한국 제품의 점유율은 1.5%에 불과하다”고 소개했다.
방 교수는 “군집 드론으로 공격해 올 때 국내 지상 전력만으로는 방어가 어렵다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장 성장세와 달리 국내 드론 산업의 해외 의존도가 크고 기술 발전 속도가 더디다고 지적했다.
방 교수는 “드론은 탑재컴퓨터, 구동장치, 모터, 소프트웨어 등 복합적인 요소가 결합돼 움직인다”며 “국내에서 사용하는 드론의 90%는 중국 등 외국에서 들여오는 제품”이라고 설명했다. 외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드론이 추락할 경우 소프트웨어 분석이 제한적이어서 어려움을 겪는다고 덧붙였다.
방 교수는 “중국이 드론 부품 수출을 통제해 한국이 어떻게 대처해야 할 지 걱정된다”며 “국내 드론 기술 개발 비전이 잘 보이지 않는다”고 우려했다.
방 교수는 “한국은 드론 산업 육성법 등 그동안 드론 산업에 많이 투자를 했지만 제대로 된 결실을 맺지 못했다”며 “지금까지 정책들이 왜 성과를 내지 못했는 지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여러 드론 산업에 예산을 나눠 편성하는 것보다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방 교수는 “5월 정부 주도아래 출범한 '드론 산업 얼라이언스'가 어떻게 발전할 지 주목된다”며 “최근 가시적인 드론 산업 육성 정책이 제시되고 있는 데, 구체적인 컨트롤타워를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김신영 기자 spicyzer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