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벌써부터 역대급 폭염이 예고되고 평년을 웃도는 덥고 습한 날씨가 이어지자 에어컨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삼성전자(005930)의 가정용 에어컨은 지난해보다 한달 앞서 하루 평균 1만대 판매를 돌파하고 LG전자(066570) 역시 1~4월 누적 판매량이 45% 증가했다.
25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달 19∼23일 자사 일반 에어컨과 무풍 에어컨, 시스템에어컨의 가정용 하루 판매량을 집계한 결과 평균 1만대 이상이 팔려나갔다. 지난해 6월 중순쯤 일 평균 1만대 판매를 넘어선 것과 비교하면 한 달가량 빠른 속도다. 올 1분기 삼성전자의 국내 가정용 에어컨 판매량은 작년 동기 대비 51% 증가했으며 지난주만 봐도 약 30% 이상 늘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AI가 알아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AI 쾌적' 등 혁신 기능이 고객의 좋은 반을을 얻었다” 면서 “AI 기능을 탑재한 가정용 일반 에어컨 모델이 전체 판매량의 80% 이상을 차지했다”고 전했다.
LG전자도 AI 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중심으로 판매가 늘었다. LG 휘센 스탠드 에어컨의 1~4월 누적 판매량은 작년 동기 대비 45% 증가했다. LG전자가 밀고 있는 가전 구독에서도 올해 에어컨 부문은 지난해 대비 고객이 2배 이상 증가했다. 구독 이용시 제품 상태 점검, 필터 교체, UV 살균 등 전문 케어 서비스와 무상 수리 혜택이 제공돼 고객들의 호응을 이끌어내고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에어컨 수요 증가는 올 해 여름이 예년보다 길고 무더울 것으로 예상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양사는 역대급 무더위 예보에 따라 생산 라인 및 설치 인력을 앞다퉈 늘리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대비 10일 이상 앞당겨 생산라인을 전부 가동하고 있고, 4700여 명의 에어컨 설치 전담팀을 운영해 고객 수요에 즉각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LG전자 역시 경남 창원에 위치한 에어컨 생산라인을 3월부터 전면 가동 중이다. 판매 증가에 따라 원활한 제품 설치를 위해 설치 인력도 추가 투입했다.
LG전자는 "주거 환경과 사용 목적에 맞춰 최적의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벽걸이·창호형·이동식 에어컨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며 판매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