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4일 내년도 예산안 시정연설에서 “정부가 마련한 2026년 예산안은 인공지능(AI) 시대를 여는 대한민국의 첫 번째 예산”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국회에서 시정연설을 통해 “박정희 대통령이 산업화의 고속도로를 깔고 김대중 대통령이 정보화의 고속도로를 낸 것처럼 이제는 AI 시대의 고속도로를 구축해 도약과 성장의 미래를 열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우리는 겪어보지 못한 국제 무역 통상질서의 재편과 AI 대전환의 파도 앞에서 국가 생존을 모색해야 할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해있다”고 진단한 이 대통령은 “안타깝게도 지난 정부는 천금 같은 시간을 허비한 것도 모자라 연구개발(R&D) 예산까지 대폭 삭감하며 과거로 퇴행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출발이 늦은 만큼 지금부터라도 부단히 속도를 높여 선발주자들을 따라잡아야 우리에게도 기회가 생긴다”며 올해 대비 8.1% 증가한 728조원 규모의 내년도 예산안에 대해 설명했다. 먼저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대전환에 총 10조 1000억원을 편성했다”며 “올해 예산 3조 3000억원보다 3배 이상 늘어난 규모”라고 밝혔다. 이중 2조 6000억원은 산업·생활·공공 전 분야 AI 도입에, 7조 5000억원은 인재양성과 인프라 구축에 투입할 계획이다.
또 “피지컬 AI 선도 국가 달성을 위해 국내의 우수한 제조 역량과 데이터를 활용해 중점사업에 집중투자 하겠다”며 “로봇, 자동차, 조선, 가전·반도체, 팩토리 등 주요 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AI 대전환을 신속하게 이루기 위해 향후 5년간 약 6조원을 투입하겠다”고 했다. 이 예산으로 지역 특화산업과 연계한 피지컬 AI 지역거점을 광역별로 조성하고 대규모 R&D·실증 추진을 통해 AI 기반 지역 혁신을 촉진하겠다는 구상이다.
이 대통령은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고급인재 1만 1000명을 양성하고 세대별 맞춤형 교육을 통해 국민 누구나 AI를 주도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이와 더불어 “AI 시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부품인 고성능 GPU 1만 5000장을 추가 구매해 정부 목표인 3만 5000장을 조기에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첨단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 발굴과 R&D 투자로 방위산업을 AI 시대의 주력 제조업으로 육성하고 방산 4대 강국의 발판을 마련하겠다”며 “내년도 국방 예산을 올해보다 8.2% 증액된 약 66조 3000억원으로 편성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재래식 무기체계를 AI 시대에 걸맞는 최첨단 무기체계로 재편하고 우리 군을 최정예 스마트 강군으로 신속히 전환해 국방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하고 자주국방 실현을 앞당기겠다”고 덧붙였다.
 이재명 대통령 2026년도 예산안 관련 국회 시정연설](https://img.newspim.com/news/2025/11/04/251104110651665_w.jpg)

![[전문]이재명 대통령 내년도 예산안 국회 시정연설](https://img.khan.co.kr/news/r/600xX/2025/11/04/news-p.v1.20251104.e9da1125f9124efda1beb654b3e3acf7_P1.webp)

![[속보] 李대통령 "R&D 투자 35조3천억 원…역대 최대 규모"](https://img.newspim.com/news/2025/11/04/251104102245149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