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탁현민 국회의장 행사기획자문관이 이재명 대통령 취임 30일 기자회견에 대해 “지금 아마 (이 대통령이) 돌아가면 엄청 답답하실 것 같다”고 말했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의전비서관을 지낸 탁 자문관은 3일 JTBC 유튜브 라이브 ‘장르만 여의도’에 출연해 “오늘 기자회견을 보면서 느낀 건 (이 대통령이) 정말 하고 싶은 말이 많구나. 근데 왜 저걸 이렇게밖에 못 받아주지라는 생각이 자꾸 들었다”며 이같이 전했다.
그러면서 “그 형식적인 부분에 대한 고민이 별로 없으면 오늘처럼 말을 다 못하는 상황이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인수위도 없었는데 그런데도 이 대통령이 30일 동안 적지 않은 일을 해왔다”고 강조하며 “그걸 설명하는 기회까지를 가지려고 했던 것은 일종의 자신감도 있는 거고 정말 하고 싶은 말이 많았을 텐데 왜 저걸 이렇게밖에 못 받아주지 라는 생각이 자꾸 들었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탁 자문관은 “과연 기자회견이라는 형식이 여전히 유효한 형식인가라는 고민을 제가 일할 때도 똑같이 했다”며 “좋은 질문을 끄집어내려면 좋은 질문하는 기자를 찾아야 하는데, 그럼 특정 기자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 근데 그건 기자회견의 공평성 문제가 제기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추첨하면 좋은 질문이 나올 확률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면서 “형식이 준비된 사람의 내용을 받아주지 못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탁 자문관은 “미국은 백악관에 출입하는 기자들의 숫자가 그렇게 많지 않다”며 “한 기자가 길게는 반평생을 출입하기도 하면서 정책에 대한 이해도나 대통령에 대한 이해도도 높으면서 아주 송곳 같은 질문을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금 우리나라는 횡적 평등을 무척 강조한다. 좋은 질문보다 다 같이 질문할 기회가 있어야 한다는 게 더 중요한 것”이라며 “그러니 맥빠진 기자회견이 된다”고 덧붙였다.
이날 청와대 영빈관에서는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라는 제목으로 121분간 이 대통령의 첫 기자회견이 진행됐다. 질의응답이 길어지며 당초 예정됐던 시간(100분)보다 더 늦게 끝났다.
회견에는 국내 매체 119곳, 외신 28곳 등이 참여했다. 대통령실 출입기자가 아닌 지역의 풀뿌리 언론들도 벽면에 설치된 ‘미디어월’ 화면을 통해 원격으로 실시간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이날 회견에서는 질문자를 즉석에서 추첨했다. 상자에 담긴 명함이 뽑힌 기자가 질문하는 일종의 ‘제비뽑기’ 방식이었다. 그러다 보니 질문 기회가 상대적으로 지역지에 많이 배분됐다는 평가도 나왔다. 이 대통령은 회견 말미에 “통신사들한테 기회를 좀 주시라. (질문) 못 하지 않았느냐”며 직접 질문 기회를 주기도 했다.
기자회견은 100분으로 예정됐지만 총 121분 진행됐다. 질문자는 즉석에서 추첨 방식으로 정해졌으며, 기자단에서 선정한 기자가 ‘민생·경제’, ‘정치·외교안보’, ‘사회문화’ 등 주제가 적힌 상자에서 명함을 뽑고 해당 기자가 대통령에게 질문하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국내 매체 119곳과 외신 28곳이 참여한 이번 기자회견에서 다양한 분야의 15개 질문이 나왔지만, 이른바 ‘송곳 질문’은 없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문재인 전 대통령은 너무 과대 포장해서 보여주려고 했고, 윤석열 전 대통령은 자세 등이 굉장히 권위주의적으로 보였다”면서 “이 대통령은 무대장치를 포함해 상당히 소박하게 연출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