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국립중앙박물관은 오는 22일부터 상설전시관 3층 세계문화관에 이슬람실을 신설한다.
세계적인 이슬람 박물관인 카타르 도하 이슬람예술박물관과 공동 주최하는 이번 전시는 '이슬람 미술, 찬란한 빛의 여정'라는 주제로 초기 쿠란 필사본 등 총 83건의 다양한 이슬람 미술품들을 선보인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인류가 남긴 다양한 문화유산을 소개하는 세계문화관을 조성한 이래, 2019년부터 세계 주요 박물관 소장품을 통해 다양한 세계문화를 소개하는 전시를 개최하고 있다. 이슬람 문화는 다섯 번째 주제로, 상설전시관 최초의 이슬람 주제 전시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슬람 문화는 7세기 무렵 아라비아반도에서 시작되었다. 예언자 무함마드가 받은 신의 계시는 신성한 경전인 쿠란으로 완성됐고, 그 가르침은 오늘날까지 이슬람 사회 전반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이후로 이슬람 세계는 아라비아반도를 넘어 무역과 교류를 통해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으로 확산해 갔고, 이슬람 예술은 변화와 융합을 거듭한 역동적이고 다채로운 시각문화로 자리 잡았다.
오늘날 전 세계 57개국이 이슬람 문화권에 속하고, 무슬림 인구가 20억 명이 넘고, 우리나라 역시 거주 외국인 204만 명 가운데 무슬림으로 추산되는 인구가 30만 명에 이를 정도로, 이슬람 문화는 이미 우리 사회에 가까이 다가와 있다. 이슬람실은 우리에게 아직은 다소 낯선 이슬람 세계를 이해하고 포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기획됐다.


전시는 7세기부터 19세기의 이슬람 미술을 종교미술, 문화의 포용과 확장, 궁정 문화와 필사본이라는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전시의 흐름을 연대기적 전개보다는 이슬람의 문화 다양성과 폭넓은 미감에 초점을 맞추어 이슬람 미술의 찬란했던 여정을 소개한다.
전시는 3개의 큰 주제로 나뉜다. 먼저 1부는 '이슬람 세계의 종교미술', 2부 '이슬람 문화의 포용과 확장', 3부 '이슬람 궁정 문화와 필사본'으로 구성된다.
오는 22일 오후 1시부터 박물관 교육관 교육실습실에서는 전시를 함께 기획한 도하 이슬람예술박물관 학예 부관장이자, 세계적 이슬람연구자인 무니아 셰크합 아부다야 박사가 '찬란한 빛의 여정-도하에서 서울까지 이슬람 미술의 소개'라는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다.

유홍준 국립중앙박물관장은 "이번 전시는 카타르 도하 이슬람예술박물관과 협력하여 이슬람 미술을 소개하는 뜻깊은 자리"라며, "관람객들이 시대와 지역을 넘어 찬란하게 꽃피운 이슬람 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인류 문화의 다양성과 공존의 가치를 되새기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번 개막을 위해 방한한 카타르 도하 이슬람예술박물관의 샤이카 나세르 알-나스르 관장은 "이번 전시가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따뜻하게 협력해 준 국립중앙박물관에 깊이 감사한다"고 전하며 "이번 전시는 예술이라는 보편적 언어를 통해 문화적 대화와 상호 이해를 증진하기 위해 마련했다. 카타르 박물관 연합 설립 20주년을 맞이한 올해, 본 전시는 세계적 교류와 상호 이해를 강화하려는 지속적인 노력의 하나이기도 하다. 우리는 예술이 사람들을 연결하고 국경을 넘어 이해를 넓히는 힘을 함께 기념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alice09@newspim.com



![[오늘의 전시] 한국 수묵의 확장성과 미완의 정신을 조명하다](https://www.kgnews.co.kr/data/photos/20251147/art_17636031867415_bc6ff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