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사이버 사기 피해는 커지고 있으나 범인 검거율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 실효성있는 대책 마련이 촉구되고 있다. 갈수록 금융통신 발달로 사기수법이 고도화·지능화한 신종사기가 늘어나면서 사기피해액이 증가 추세다. 이처럼 피해액은 늘어나는 반면, 증거확보 등 범인 검거는 점점 더 어려워져 검거율 하락세가 지적되고 있다.
국회 한병도 의원(더불어민주당 익산을)이 경찰청으로 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 한 해 동안 국내에서 발생한 사이버 사기피해는 20만9천여 건으로 피해금액은 무려 3조4천60억여 원이 훨씬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기피해자만 28만여 명에 이른다. 그러나 범인 검거율은 54%도 채 안 된다. 전년도 72% 검거율에서 크게 하락하고 있다.
전북특별자치도 경찰청의 지난 2021년 사이버 사기범죄가 5천100건 이상 발생하는 등, 이 자료를 보면 이후 매년 5천여 건에서 6천여 건 이상씩 발생해 오다 지난해는 8천여 건 가까이 큰 폭으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범인 검거율은 최근 3년새 24%대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역시 사이버 사기범 검거율은 하락은 전국적인 추세다.
올해 들어서만 해도 도내 경우 지난 6월 기준 5천20건이나 발생했다. 지난해 보다 더 늘어날 것으로 우려되고 있지만 정작 범인 검거는 1천5백 건이 조금 넘을 뿐이다. 사이버 사기범죄가 지능화하면서 늘어나는데 반해 수사능력이 뒤따라가지 못하는 현실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피해예방은 물론 수사역량 강화를 위한 근본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할 것이다.
사이버 사기범죄에 대해 효율적 대응을 위해서는 신고포상제 실시와 경찰·통신사 등 유관기관 간 정보 공유를 비롯 협력체제가 적극 이뤄져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하고 있다. 특히 수사인력 강화로 업무과다가 없도록 하는 것은 물론 지능화해가는 범죄수법에 대응할 수 있는 전문강사로 수사역량 강화 등 수사인력 보강·예산 등 전반적인 제도 개선이 요구된다. 더 중요한 것은 스스로 각별히 주의하는 것이다. 초특가, 이벤트, 한정상품, 저렴한 상품 등은 일단 의심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전북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