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든 두려움을 억누르고 견뎌내야 했다.”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제 19회 쇼팽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한 피아니스트 에릭 루(27·미국)가 21일(현지시간) 기자들과 만나 “불안을 이기기 위해 가장 노력했다”며 “우승이 발표되는 순간 감정이 너무 압도적이어서 머리가 하얘졌다”고 했다. 중앙일보는 한국 언론 중 유일하게 쇼팽 국제 콩쿠르의 공식 취재에 참여했다.
그는 2015년 조성진이 우승했던 쇼팽 콩쿠르에 17세로 출전해 4위에 올랐다. 10년 만에 다시 출전했고, 재도전자 중 최초의 우승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더불어 쇼팽의 협주곡 1·2번 중 덜 연주 되는 2번을 골라 우승한 두 번째, 보다 대중적인 스타인웨이 피아노 대신 파지올리로 경연하고 우승한 두 번째 피아니스트로 기록됐다. 각각 첫 번째 기록은 당 타이 손(1980년)과 브루스 리우(2021년)가 갖고 있다.
다시 출전한다고 했을 때 조성진을 비롯한 친구들의 반응은 어땠나.
“2015년 함께 수상한 친구들에게 쇼팽 콩쿠르에 다시 나가겠다고 했을 때 그들은 큰 충격을 받았다. ‘나라면 안 할 거야’라고도 했다.”
그런데도 재출전한 이유는.
“10년 전엔 너무 어리고 순진했다. 그동안 나는 변했다. ‘다른 나’를 세계에 보여주고 싶었고, 전 세계 청중이 보는 쇼팽 콩쿠르가 적당했다.”
출전하면서 어떤 마음이었나.
“큰 도박이었다. 이미 경력이 있고 매니저도 있기 때문에 연주를 잘 못 하거나 대회에서 지게 되면 위험이 너무 컸다.”
정신적인 압박이 컸나.
“콩쿠르 후반엔 식당에서 밥을 먹을 수 없어져서 부모님이 먹을 것을 숙소로 가져다줬다. 마지막 몇 주 동안은 한 번도 웃지 못했고, 숨을 쉴 수 없는 순간이 있었다. 자기 의심과 공포에 떨었다.”
어떻게 극복했나.
“무조건 음악에만 집중하려 했다. 두려움을 억누르고 견뎌내는 것이 가장 중요했다.”
2018년 리즈 국제 콩쿠르 우승, 또 그 후의 많은 연주와 음반 발매 경험이 있다.
“콩쿠르가 열린 이 콘서트홀에서 여러 차례 연주했다. 그때 보니 연주할 때 음향이 많이 울리더라. 피아노 소리가 선명치 않은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이번에 파지올리 피아노를 선택했다. 수년 간 많은 오케스트라, 위대한 지휘자와 함께한 경험도 확실히 도움 됐다.”
가장 마음에 들었던 연주는.
“2차 본선 무대에서 쇼팽의 소나타 2번을 연주할 때 감정적으로 엄청난 경험을 했다. 어딘가 다른 세계로 들어가는 특별한 순간이었다.”
쇼팽 콩쿠르가 당신에게 가지는 의미는.
“내 삶의 전부다. 17세에 나와 무대 경험도 없이 시작해 10년간 긴 여정을 쇼팽 콩쿠르와 함께했다. 이제 막 다른 시작을 하게 됐다.”
에릭 루는 1위 상금으로 6만 유로를 비롯해 한국의 공연기획사인 마스트미디어가 제정한 비정규 특별상(1만 유로) 등 총 9만 5000유로(1억 5900만원)를 받게 됐다. 앞으로 유럽과 아시아에서 수상자 공연을 연다. 에릭 루의 한국 공연은 다음 달 21일 KBS교향악단과 협연으로 시작해 울산(22일)·통영(23일)·서울(26일)에서 독주회로 예정돼 있다.



![[핫피플] 당구계 캄보디아 특급 스롱 피아비 “내가 LPBA 여왕”](https://www.aseanexpress.co.kr/data/photos/20251043/art_17613652664109_40000e.jpg?iqs=0.535696291777625)
![한라산 두 번 넘는 100km 산악 달리기, 고통은 희열이 된다[스튜디오486]](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0/25/ca3afc3b-39cd-4361-9860-5edf8398bf4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