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원전 기업들이 미국 시장 진출의 물길을 텄다. 미국의 친원전 정책과 우리의 원전 수출 진흥 정책이 맞물린 결과다.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는 13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한-미 원자력 공급자 포럼'을 열고 국내 중소·중견기업들과 미국 전력사·SMR(소형모듈원자로) 개발사 간 협력 기회를 본격 논의했다. 산업통상부의 '원전수출 첫걸음 프로그램'일환으로 마련됐다.
이번 포럼은 미국의 친원전 정책을 계기로 성사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2030년까지 신규 원전 10기 착공을 목표로 '원전 부흥'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미국이 SMR을 중심으로 차세대 공급망을 재편하는 국면은 우린 원전 기업에게 새로운 시장이기 때문이다.
한미 양국은 지난 8월과 10월 정상회담에서 '마누가(MANUGA)' 협력 구상을 통해 원전 공급망 공조를 명시하기도 했었다. 이재명 정부 역시 국내 신규 건설 확대보다는 수출·외교 중심의 원전 활용 전략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이번 포럼은 정부 간 합의로 조성된 협력 흐름을 민간 비즈니스로 구체화하는 첫 무대였다. 국내 기업들은 미국 현지 기업과의 네트워킹에서 ▲기자재 공급, ▲현지 인증·품질체계 협력, ▲프로젝트 참여 확대 등 실질적 협력 방안을 세밀하게 논의했다. 세계 원전 공급망이 재편되는 시점에서 “한국 기술로 미국 시장에 진입할 마지막 황금 구간”이라는 평가도 현장에서 나왔다.
행사에는 한전·한수원·한전기술·두산에너빌리티 등 '팀코리아' 주요 기관이 동행했다. 대형원전 시공능력과 SMR 대응 역량을 종합 소개함으로써 미국 내 대규모 프로젝트 참여 확대를 노렸다. 버지니아 주정부, PSEG, 도미니언에너지, NuScale, X-에너지 등 미국의 주요 전력사·개발사도 참여해 양국 기업 간 파트너십 가능성을 타진했다.
협회는 “이번 포럼은 중소·중견기업 중심의 글로벌 원전 공급망 진출을 현실화하는 자리였다”며 “미국을 시작으로 주요 원전 협력국을 순차적으로 방문해 한국 원전 산업의 새로운 수출 활로를 지속적으로 열겠다”고 밝혔다.
안영국 기자 ang@etnews.com


![[단독] IEA 사무총장 "원전의 부활…평판 좋은 한국, 수혜국될 것"](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13/db4d4b54-21a0-4b25-b68d-b931977a67bb.jpg)





